주요 공개 기록
보이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1월 5일 (수) 1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Explaining the rationale of deep learning glaucoma decisions with adversarial exampl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Explaining the Rationale of Deep Learning Glaucoma Decisions with Adversarial Examples<ref>Chang J et al. Explaining the Rationale of Deep Learning Glaucoma Decisions with A...)
- 2022년 1월 5일 (수) 12:32 Smile 토론 기여님이 RFs for onset or progression of PVD at the VM Interface after cataract surgery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RFs for onset or progression of PVD at the VMI after cataract surgery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월 5일 (수) 12:31 Smile 토론 기여님이 RFs for onset or progression of PVD at the VM Interface after cataract surger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Risk Factors for Onset or Progression of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at the Vitreomacular Interface after Cataract Surgery <ref>Park JH et al. RFs for Onset or Progression...)
- 2022년 1월 5일 (수) 12:09 Smile 토론 기여님이 Relationship between 3D MRI eyeball shape and ONH morpholog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Relationship between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Eyeball Shape and Optic Nerve Head Morphology<ref>Lee KM et al. Relationship between 3D MRI eyeball shape a...)
- 2022년 1월 5일 (수) 0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연세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 name="연세대">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ref>)
- 2022년 1월 5일 (수) 0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Clinical spectrum of uveal metastasis in Korean patients based on primary tumor orig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Clinical spectrum of uveal metastasis in Korean patients based on primary tumor origin<ref>Kang HG, Kim M, Byeon SH, Kim SS, Koh HJ, Lee SC, Kim M. Clinical Spectrum of Uvea...)
- 2022년 1월 3일 (월) 18:01 Smile 토론 기여님이 Long-term progression of pericentral HCQ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Long-term progression of pericentral hydroxychloroquine retinopathy<ref>Ahn SJ et al. Long-Term Progression of Pericentral HCQR. Ophthalmology. 2021 Jun;128(6):889-898. [htt...)
- 2022년 1월 3일 (월) 17:59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울산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 name="울산대">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ref>)
- 2022년 1월 3일 (월) 17: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아주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 name="아주대">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ref>)
- 2022년 1월 3일 (월) 17:57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한양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 name="한양대">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ref>)
- 2022년 1월 3일 (월) 16:25 Smile 토론 기여님이 Interey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PC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T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Interey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papillary choroid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TG<ref>Kim JA et al. Interey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
- 2022년 1월 3일 (월) 1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한림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 name="한림대">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ref>)
- 2022년 1월 3일 (월) 1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강원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 name="강원대">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 교실</ref>)
- 2022년 1월 3일 (월) 15: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제주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 name="제주대">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 교실</ref>)
- 2022년 1월 3일 (월) 05:40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서울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ref>)
- 2022년 1월 3일 (월) 0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Efficacy and safety of 8 atropine concentrations for myopia control in childre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8 atropine concentrations for myopia control in children |소아 근시 조절에서 8 아트로핀 농도의 효과 및 안정성 |Ophthalmology |하...)
- 2022년 1월 1일 (토) 19:07 Smile 토론 기여님이 STAR S4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TAR S4''' (VISX, Santa Clara, CA) 는 엑시머 레이저 장비로서, iDesign® Refractive Studio 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 적응증<ref>FDA : SSED [https://www.acces...)
- 2022년 1월 1일 (토) 18:38 Smile 토론 기여님이 EX50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EX500''' (Alcon, Fort Worth, TX, USA) 레이저는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엑시머 레이저 장비이다. == 안구 추적 장치 ==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동...)
- 2021년 12월 29일 (수) 14: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너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너지 (Tecnis Synergy™, ZFR00V)'''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광학부 종류||양면 볼록, 비구면 전면, 대비 감도 향상을 위한 색수...)
- 2021년 12월 27일 (월)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이핸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이핸스 (Eyhance)'''{{백내장}}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광학부 종류|| |- |재질|| |- |도수|| |- |굴절률|| |- |전체, 광학부 지름||...)
- 2021년 12월 25일 (토) 1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사트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사트리 (AT Lisa tri, 839 MP)'''{{백내장}} (Carl Zeiss Meditec, Germany) 는 중간 거리 시력을 개선한 회절성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로, 근거리(+3.33D),...)
- 2021년 12월 25일 (토) 10: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2월 24일 (금) 18: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비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비티 (AcrySof® IQ Vivity™)'''{{백내장}} {{참고}})
- 2021년 12월 24일 (금) 18: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니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니웰 (MiniWell)'''{{백내장}} (SiFi, Catania, Italy) == 단점 == 굴절 인공수정체가 갖는 단점도 있어서 동공의 크기에 영향을 더 받아서 동공이...)
- 2021년 12월 24일 (금) 18: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포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심포니 (TECNIS Symfony®)''' 인공수정체는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미세계단 내에 또 다시 미세계단 구조를 만드는 회절 에셜렛 격자 (...)
- 2021년 12월 24일 (금) 18: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초점심도 연장 인공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초점심도 연장 인공수정체 (extended depth of focus, EDOF)'''{{백내장}} 는 중간거리 시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기존의 다초점 인...)
- 2021년 12월 24일 (금) 18: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테크니스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테크니스 다초점 인공수정체 (Tecnis mfIOL)'''{{백내장}} == 종류 == * ZKB00 (+2.75 D, 50 cm) * ZLB00 (+3.25 D, 42 cm) * ZMB00 (+4.0 D, 32 cm) {{참고}})
- 2021년 12월 24일 (금) 18: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팬옵틱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팬옵틱스 (Acrysof IQ PanOptix)'''{{백내장}} (Alcon Laboratories, Inc., Fort Worth, TX, USA) {{참고}})
- 2021년 12월 24일 (금) 18: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옵티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옵티비스 (Optivis™)''' 는 회절-굴절형 방식의 친수성 acrylic 1-piece folderble 인공수정체로 중심부에서 1.5 mm까지는 progressive power refractive zone...)
- 2021년 12월 24일 (금) 17: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크리소프 레스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크리소프 레스토 (Acrysof Restor®; SN6AD1)'''{{백내장}} (Alcon Lab., Fort Worth, TX, USA) 는 대칭형 양면 볼록렌즈로, single piece, 전면 비구면 인공...)
- 2021년 12월 24일 (금) 17:05 Smile 토론 기여님이 렌티스 엠플러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렌티스 엠플러스 (Lentis® Mplus; LS-313)'''{{백내장}} (Oculentis GmbH., Berlin, Germany) 는 양면볼록렌즈(biconvex)로, single piece, 후면 비구면렌즈로 광...)
- 2021년 12월 24일 (금) 1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렌티스 컴포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렌티스 컴포트 (Lentis® Comfort)'''{{백내장}} (Oculentis, Berlin, Germany) 는 덧댐 굴절력 +1.5 D 를 갖는 굴절 굴절성 비...)
- 2021년 12월 24일 (금) 1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회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2월 24일 (금) 16: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굴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2월 24일 (금) 1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style="color:{{{1}}}">{{{2}}}</span>)
- 2021년 12월 23일 (목) 07: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토피 피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은 가려움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만성 재발성 양상의 피부 질환이다<ref>Leung DY. Atopic dermatitis : the skin as...)
- 2021년 12월 3일 (금) 01: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루미파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루미파이 (Lumify®) 점안액''' 은 FDA 승인된 브리모니딘 0.025% 약제로 1분 안에 빠른 효과 발현과 8시간의 지속력을 가지며, 정맥의 선택...)
- 2021년 11월 25일 (목) 14:57 Smile 토론 기여님이 TV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VT (Tube Versus Trabeculectomy) == 목적 == 이전에 안내 수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밸브가 없는 튜브 우회 수술과 미토마이신 씨를 이용한 섬유...)
- 2021년 10월 15일 (금) 0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고혈압 망막병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5일 (금) 04:59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맥락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고혈압 맥락막병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2일 (화) 12: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당뇨 황반 부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당뇨 황반부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1일 (월) 15:12 Smile 토론 기여님이 ACCORD-EY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2010년에 발표된 ACCORD 연구는 10,251명의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임상 시험으로 그 중 2,856명이 환자를 대상으로 ''ACCORD-EYE (Act...)
- 2021년 10월 11일 (월) 15:01 Smile 토론 기여님이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UKPDS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1일 (월)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1일 (월) 1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증식 당뇨 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0일 (일) 06: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 상피 유래 인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색소상피 유래 인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0일 (일) 0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Angiopoie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giopoietin 은 내피세포에 특별히 중요하고 세포와 기질을 지지하는 다양한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 == 종류 == 이 둘은 혈관에 서로 상반된...)
- 2021년 10월 10일 (일) 06: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직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직 인자 (tissue factor, TF)'''{{망막}} 는 응고인자 Vll, Vlla의 transmembrane 수용체이다<ref>Morrissey JH et al. TF/factor VIIa complex : role of the membrane s...)
- 2021년 10월 10일 (일) 0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TIM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금속단백 분해효소 조직 억제제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망막}} 는 MMP를 하향 조절한다. == 분류 == * TIMP-1 : 가용성 * TIMP-2...)
- 2021년 10월 8일 (금) 02:44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망막}} 는 동종 또는 이종 접합 당단백질로 혈관신생에서 혈관주위세포와 혈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