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8월 28일 (일) 09:41 Smile 토론 기여님이 클로르헥시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은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 진균 등의 멸균에 효과적인 소독제로 안면부 수술 및...)
- 2022년 8월 28일 (일) 08: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성장 호르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성장 호르몬 (growth hormone, GH)''' 치료는 성장 호르몬 결핍증 또는 기타 다양한 원인에 의한 저신장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약물...)
- 2022년 8월 25일 (목) 01:01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녹내장 안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background-color:#C4DDFF; width:100%;' |- style='background-color:#7FB5FF;' |colspan=3|'''녹내장 점안제''' |- |1번 : 후각신경...)
- 2022년 8월 19일 (금) 05: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진행 이중 초점 맥락막 위축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진행 이중초점 맥락막 위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8월 19일 (금) 0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변성 (degeneration)''' 은 유전적 원인 뿐만 아니라 비유전적 원인에 의한 과정 또는 결과를 모두 포함한다. {{참고}})
- 2022년 8월 19일 (금) 00: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상증 (dystrophy)''' 은 기에는 정상기능을 갖 는 조직에서, 유전적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특정 세포의 기능저하의 과정 또는 결과를 의...)
- 2022년 8월 18일 (목) 06: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정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위 (orthophoria, orthoposition)'''{{사시}} 는 정상적인 눈의 위치이자 사시 수술의 궁극적인 목표이며, 망막 중심 오목이 동일한 시표를 향하...)
- 2022년 8월 18일 (목) 06: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절대 안정 위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대 안정 위치 (absolute position of rest)'''{{사시}} 는 사후 또는 전신마취 중 근이완제를 투여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절대 안정 위치가...)
- 2022년 8월 18일 (목) 05: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대 안정 위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대 안정 위치 (relative position of rest)'''{{사시}} 는 융합을 방해한 상태에서의 시축의 위치를 말한다. 융 합을 위한 신경과 외안근의 활동...)
- 2022년 8월 18일 (목) 05: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시 (heterotropia 또는 tropia)''' 는 운동 융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편위가 나타나는 상태, 즉 운동 융합에 의해 보상되지 않은 현성...)
- 2022년 8월 18일 (목) 05: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사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위 (잠복 사시, heterophoria 또는 phoria)''' 는 융합에 의해 편위가 나타나지 않고 잠복된 상태이다. 한눈을 가리면 운동 융합이 이루어지...)
- 2022년 8월 15일 (월) 14: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절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절 내사시 (accommodative estropia, AET)'''{{사시}} 는 조절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내사시를 총칭하여 말한다. == 분류 == * 굴절 조절 내사시 :...)
- 2022년 8월 15일 (월) 14:34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편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편위 (esodeviation)''' 는 눈이 안으로 몰리는 사시를 말한다. == 원인 == 다른 일차 사시와 마찬가지로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경 전도...)
- 2022년 8월 15일 (월) 14: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긴장 눈모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휴식, 안정 상태에서 눈의 해부학적 위치는 약간의 눈벌림 상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깨어있을 때 눈의 생리적 위치는 이보다 더 눈모음...)
- 2022년 8월 15일 (월) 14: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의 눈모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의 눈모음 (volntary convergence)'''{{사시}} 은 외부 자극 없이도 스스로 일어나는 눈모음을 말하며, 눈모음은 이향 운동 중에서 자발적으로...)
- 2022년 8월 15일 (월) 05: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억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복시는 매우 불편하므로 복시가 있는 사람은 이를 피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하게 된다. 가능하다면 눈피로를 겪더라도 운동 융...)
- 2022년 8월 15일 (월) 05:22 Smile 토론 기여님이 한눈 복시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한눈 복시 (monocular diplopia) 는 한눈 또는 두 눈에 생길 수 있는데 주로 안구 매체의 이상 때문에 일어나며, 바늘 구멍을 통하여 보게 하면 복시가 없어진다. 드물지만 감각적 원인에 의해 생긴 복시는 바늘 구멍으로 보게 해도 없어지지 않을 수 있다. == 원인 == 초기 백내장이나 눈물층 이상, 각막 이...".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8월 14일 (일) 17:0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모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모음 (convergence)'''{{사시}} 은 두 눈의 시축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현상을 말하며, 더 가까운 물체를 보기 위해 두 눈에 동시에 일어...)
- 2022년 8월 14일 (일) 17: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절 (accommodation)'''{{사시}} 은 선명한 망막상을 얻기 위해 눈의 굴절력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 기전 == 수정체 모양의 변화, 즉...)
- 2022년 8월 14일 (일) 16:55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거리 주시 복합 운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거리 주시 복합 운동 (near vision complex)'''{{사시}} 은 근거리를 볼 때 조절, 눈모음 그리고 축동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
- 2022년 7월 31일 (일) 01: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액-망막 장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액-망막 장벽 (blood-retinal barrier)'''{{망막}} {{참고}})
- 2022년 7월 29일 (금) 04:50 Smile 토론 기여님이 X염색체 관련 연소 망막 층간 분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X염색체 관련 망막 층간분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7월 22일 (금) 12:00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심성 고리 모양 황반 이상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양성 동심성 고리모양 황반 이상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7월 22일 (금) 0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antiphospholipid syndrome)''' 은 혈청학적으로 루프스 항응고 인자 (lupus anticoagulant), 항카디오리핀 항체 (anticardiolipin ant...)
- 2022년 7월 22일 (금) 03:5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주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주름 (choroidal folds)'''{{망막}} == 원인 == * 외안근, 안와 지방, 눈물샘과 같은 안와 조직의 비대 또는 안와 종양에 의한 안구 압박 *...)
- 2022년 7월 22일 (금) 02: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수정체 탈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공수정체 탈구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IOL dislocation)''' == 역학 ==)
- 2022년 7월 20일 (수) 04:50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이식편대 숙주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이식편대 숙주병 (ocular graft-versus-host disease, oGVHD)''' 은 안구를 침범하는 이식편대 숙주병 (GVHD) 으로 일반적으로 각막, 결막, 안검,...)
- 2022년 7월 20일 (수) 01: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식편대 숙주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식편대 숙주병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후 공여자의 T 림프구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이다<ref>Welniak LA et al....)
- 2022년 7월 20일 (수)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Prokera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ProKera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7월 20일 (수) 00:58 Smile 토론 기여님이 MS-Amni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S Amnion''' (MS Bio) 은 양막 콘택트렌즈로 2019년 6월부터 국내에서 식품 의약품 안전처의 승인을 받아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게 되었...)
- 2022년 7월 20일 (수) 00:54 Smile 토론 기여님이 Proker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로케라 (Prokera ®)''' (Bio-tissue) 는 현재 유일하게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치료 목적의 AMCL이다. 제작 과정은 양막을 dual polycarbonate ring에...)
- 2022년 7월 19일 (화) 1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막 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막 콘택트렌즈 (MS-Amnion)''' (MS Bio) 는 양막 두세겹을 교차 결합하여 콘택트렌즈 형태로 가공한 것이다. == 모양 == 평면상 규격 가로 12.5...)
- 2022년 7월 18일 (월) 0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펀치 생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찍어냄 생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7월 18일 (월) 03: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사시 약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시 약시 (strabismic amblyopia)''' 는 두 눈의 시선 방향이 서로 달라서 중심와에 서로 다른 상이 맺히게 되고 망막간의 상호 견제에 의해 사...)
- 2022년 7월 18일 (월) 0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 차단 약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각 차단 약시 (visual deprivation amblyopia)''' 는 눈 질환이 시력 발달에 필요한 시자극을 차단시켜서 약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ref>Von Noo...)
- 2022년 7월 13일 (수) 01: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우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우세 (eye dominance)''' 는 시각 시스템이 한쪽 눈의 입력 신호를 다른쪽 눈보다 더 많이 처리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 2022년 7월 13일 (수)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등시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굴절 부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7월 11일 (월) 08:09 Smile 토론 기여님이 굴절 부등 약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굴절 부등 약시 (anisometropic amblyopia)''')
- 2022년 7월 9일 (토) 1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이사이트 원데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이사이트 원데이 (Misight ® 1 day)''' (CooperVision, Inc.) 는 매일 교체 친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매번 사용 제거 후 버려야 한다. 치료...)
- 2022년 7월 8일 (금) 1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철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철선'''{{각막}} == 임상 소견 == 세극등 현미경에서 넓고 흰 직접 조명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희미한 선은 보기 어려울 수 있는데, 코발...)
- 2022년 7월 8일 (금) 15:3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켈로이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켈로이드 (corneal keloid)'''{{각막}} 는 임상적으로 잘쯔만 결절 변성 (SND) 과 유사해보일 수 있는 드문 질환이다. == 역학 == 선행 안...)
- 2022년 7월 8일 (금) 15: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방 각막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방 각막 변성 (lipid corneal degeneration)'''{{각막}} == 분류 == * 원발성 : 매우 드물어서 증례가 보고될 정도이다. * 속발성 : 더 흔한 형태로,...)
- 2022년 7월 8일 (금) 14:49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각결막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background-color:#C4DDFF; width:100%;' |- style='background-color:#7FB5FF;' |colspan=2|'''각막 및 결막의 변성''' |- |각막||노...)
- 2022년 7월 8일 (금) 12: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가성 전방 축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가성 전방 축농 (retinal pseudohypopyon)'''{{망막}} 은 가성 전방 축농의 모습이 망막에 있을 경우에 사용되며, 노른자 모양 황반 이...)
- 2022년 7월 8일 (금) 05: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파부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파부틴 (rifabutin)'''{{망막}} 은 반합성 리파마이신 계열의 항생제로서 에이즈 환자에서 발생한 조형 결핵균 (mycobacterium avium) 감염의 치...)
- 2022년 7월 8일 (금) 0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가바트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가바트린 (vigabatrin)''' 은 간질 치료에 사용되는 약이다. == 부작용 == 시신경 위축과 시야 결손이 보고되었다<ref>Frisén L, et al. Characteriza...)
- 2022년 7월 8일 (금) 04:04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세 전방 출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세 전방 출혈 (microhyphema)''' 은 전방에 적혈구 혼탁이 보이지만, 혈전은 없는 상태를 말한다.)
- 2022년 6월 28일 (화) 07: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부 층판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부 층판 각막 이식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ALK)''' 은 표층 각막 이식이라고도 한다. == 분류 == === 시술 목적에 따라 === * 광학적 (optical)...)
- 2022년 6월 28일 (화) 06:56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층 각막 이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표층 각막 이식 (lamellar keratoplasty; LKP)".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6월 28일 (화) 06:50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이식/역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 외국 == 1771년 프랑스의 Pellier de Quengsy는 각막 이식의 가능성을 처음 제시했다. 이후 19세기 말~20세기 초에 Bigger (1837) 가 동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