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록 목록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4년 7월 6일 (토)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포진 결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단순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7월 5일 (금) 05: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데노바이러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는 바이러스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 종류 == 88가지 혈청형 (serotype) 이 있으며, A에서 (그까지의 아종swbgeneraffon이 발견되었다. 이 중 57가지가 ^^subgenus D에 속한다.)
  • 2024년 7월 5일 (금) 03:55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가성막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가성막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7월 5일 (금) 0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거짓막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결막 가성막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6월 27일 (목) 01: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복 각막 진무름 문서를 반복 각막 짓무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6월 24일 (월) 07: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컬러 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컬러 콘택트렌즈 (colored contact lens)'''{{콘택트렌즈}} == 역학 == 최근 들어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가 콘택트렌즈 (CL)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여기에 특히 미용 목적의 컬러 CL 부분의 증가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전체 CL 착용자 중 약 30%가 컬러 CL을 착용한다는 보고도 발표되었다<ref>Rah MJ et al. A meta-analysis of studies on cosmetically tinted SCL. ''Clin Ophthalmol''. 20...)
  • 2024년 6월 20일 (목) 06: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체외막 산소 공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체외막 산소 공급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은 체내의 정맥혈을 펌프를 통해서 체외로 뽑아내어 산소막을 통과시켜 적절한 산소화를 시킨 후 이를 다시 환자의 정맥 혹은 동맥을 통하여 주입하는 생명유지 기계 장치로, 심폐부전 환자나 심정지의 소생 치료로 사용 영역이 확대되면서 점차 적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ref>Eckman PM et al. Veno-Arterial ECMO for Car...)
  • 2024년 6월 9일 (일) 14: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전성 망막 질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전성 망막 질환 (inherited retinal diseases)''' 은 유전학적으로나 임상적으로 매우 이질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점진적인 시력 저하를 초래한다. 현재까지 270개 가량의 련된 유전자가 동정되었거나 위치가 확인되었다<ref>RetNet. Summaries of Genes and Loci Causing Retinal Diseases [Internet]. Houston (US): RetNet [https://web.sph.uth.edu/RetNet/sum-dis.htm?csrt=16946092037408442211#A-genes 연결]</ref> </r...)
  • 2024년 6월 8일 (토) 03: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콜레토트리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콜레토트리쿰 (''Colletotrichum'')''' 의 진균들은 주로 식물에 중요한 병원체로 비싼 농작물에 질병을 일으켜 많은 농업적 피해를 일으킨다. == 역학 == 인체에 대한 감염은 드물지만 진균 각막염에서 약 3.3%의 비율로 보고되고 있다. == 임상 소견 == 경미한 임상 증상에서부터 안구제거를 해야 할 정도로 치명적인 감염이 보고되고 있다<ref>Hung N et al. Colletotrichum keratitis...)
  • 2024년 6월 8일 (토) 03: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미카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미카신 (amikacin)''' 은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계 항생제로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주로 그람음성 세균을 죽이는 살균 항생제이다<ref>Lass JH et al. An in vitro analysis of aminoglycoside corneal epithelial toxicity. ''Curr Eye Res''. 1989 Mar;8(3):299-304. [https://pubmed.ncbi.nlm.nih.gov/2707046/ 연결]</ref>. 눈 질환에서 토브라마이신만큼 흔히 사용되지는 않지만 비정형 결핵균이나 노카르...)
  • 2024년 6월 8일 (토) 03: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6월 8일 (토)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는 비정형 마이코박테리아의 일종으로 주로 흙, 물, 음식, 동물 등에 널리 퍼져 있는 기회 감염균이다.1,2 == 분류 == Runyon은 성장과 색소 생산에 기초하여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 I (photochromogens) : ''M. marinum'' * II (scotochromogens) : ''M. flavescens'', ''M. gordonae'', ''M. szulgai'' * III (nonchromogens) : ''M. avium-intracellulare'', ''M. asiaticum'...)
  • 2024년 6월 5일 (수) 00:02 Smile 토론 기여님이 겸상 적혈구 혈색소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겸상 적혈구 혈색소병증 (sickle cell hemoglobinopathy)'''{{망막}} 은 비정상적인 헤모글로빈으로 인하여 적혈구가 낫 모양으로 변형되고, 혈관 내 용혈, 혈관 폐쇄 및 이로 인한 조직의 허혈을 초래한다. == 병인 == 정상 적혈구에는 4개의 폴리펩티드 사슬 (동일한 2개의 a고리와 p 고리) 과 중앙의 heme분자가 결합하여 성인 혈색소 (adult hemoglobin, Hb A) 를 형성한다. 산소 운반...)
  • 2024년 6월 3일 (월) 1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만성 눈꺼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만성 눈꺼풀염 (chronic blepharitis)'''{{성형안과}} 은 '만성 눈꺼풀테염' 이라고도 하며, 안구 불편과 눈꺼풀 염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 분류 == 앞쪽과 뒤쪽으로 나눌 수 있지만, 두 유형이 상당 부분 겹치고 두 가지 유형이 모두 존재하는 혼합 눈꺼풀염의 경우가 많다. == 원인 == === 앞눈꺼풀염 === 눈꺼풀테 속눈썹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부위에 영향을 미...)
  • 2024년 4월 17일 (수) 14: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통증조절 장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가 통증조절 장치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진통제가 투여되는 장치로, 버튼을 누를 때마다 일정 용량의 진통제가 체내로 주입되는 펌프이다<ref>Grass J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esth Analg''. 2005 Nov;101(5 Suppl):S44-S61. [https://pubmed.ncbi.nlm.nih.gov/16334492/ 연결]</ref>.)
  • 2024년 4월 17일 (수) 14: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발 골수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발 골수종 (multiple myeloma, MM)''' 은 형질세포 (plasma cell) 의 역분화 (anaplasia) 와 이의 클론성 증식에 의한 혈액암이다. == 병인 == 이들 암세포 (골수종 세포) 는 특징적으로 단세포군 면역글로불린 (monoclonal immunoglobulin, M-protein; M단백) 을 생성하는 단세포군 감마글로불린병증 (monoclonal gammopathy) 세포로, 정상적인 면역글로불린의 생성은 현저하게 감소하여 환자는 세...)
  • 2024년 3월 18일 (월) 0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평행 결막 주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평행 결막 주름 (lid-parallel conjunctival folds, LIPCOF)''' 은 아랫눈꺼풀테와 평행하게 하비측, 하이측 안구 결막에 위치한 주름을 말하며, Höh 등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 2024년 3월 15일 (금) 08:47 Smile 토론 기여님이 학대 뇌손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학대 뇌손상 (abusive head trauma)''' == 역학 == 미국에서는 연간 십만 명 당 20건이 발생하고 주로 2세 미만 영유아, 특히 생후 8개월 무렵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원인 == 흔히 영유아를 앞뒤로 심하게 흔들어 발생할 수 있어 흔들린 아이 증후군 (shaken baby syndrome) 으로도 불렸으나, 실제로는 둔탁한 충격, 압박, 질식, 목 졸림과 같이 다양한 기...)
  • 2024년 3월 15일 (금) 07: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각막}} 는 낮은 독력 (virulence) 을 보이는 그람 음성균이다. == 역학 == 중환자실의 면역 결핍 환자에서 병원 내 감염으로 주로 발생하고 눈에서의 감염은 드물다. 전 세계적으로 노출 각막염, 감염 결절 각막병증, 전체층 각막 이식술 후, 콘택트렌즈 착용, 백내장수술 후 보조절개 (side port) 창에서 발생한 증례보고만...)
  • 2024년 3월 15일 (금) 0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 (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C)''' 은 SARS-CoV-2 감염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과염증 질환 (hyperinflammatory disease) 이다. == 소견 == 발열, 복통, 발진 등 가와사키 질환과 임상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눈, 피부, 심장, 간, 신장 등 전신혈관을 침범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보고된다<ref>Verdoni L et al. An outbreak of se...)
  • 2024년 3월 15일 (금) 05: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야모야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은 뇌혈관동맥조영상 특별한 이유 없이 두개 내 내경동맥의 끝부분이나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 시작 부분에서 협착이나 폐색이 보이고 그 부근에 모야모야혈관 이라 불리는 작은 이상혈관이 관찰되는 질환이다 == 역학 == 우리나라와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호발한 다. == 유전 == 유전자 분석검사상 RNF213 유전자의 R4810K mutat...)
  • 2024년 3월 15일 (금) 02: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2형 과립 각막이상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3월 15일 (금) 02:45 Smile 토론 기여님이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1형 과립 각막이상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3월 15일 (금) 02:45 Smile 토론 기여님이 과립 각막 이상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과립 각막이상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3월 15일 (금) 0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제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4년 3월 15일 (금) 0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제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문서를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3월 15일 (금) 01: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이상증 (corneal dystrophy)'''{{각막}} 은 전신 질환 또는 환경적 요인과는 무관하면서 양안 각막에 대칭적으로 발생하며 천천히 진행하는 유전 질환이다. {{참고}})
  • 2024년 3월 13일 (수) 02: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형광 색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형광 색소 (fluorescence dye)'''{{망막}} 는 형광을 유발하는 물질을 말하는데, 이를 정맥 주사하여 혈류를 통해 안저 순환에 이르면 조영 장비로 형광을 유발하여 망막이나 맥락막 순환계를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다. == 종류 == * 플루레신 (fluorescein) * 인도사이아닌 그린 (indocyanine green, ICG) {{참고}})
  • 2024년 3월 13일 (수) 02: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3월 3일 (일) 02: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육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육아종 (granuloma)''' 은 양성 종양 중 하나로 육아조직으로 이루어진 염증성 결절 병변이다<ref>Ferry AP. Pyogenic granulomas of the eye and ocular adnexa : a study of 100 cases. ''Trans Am Ophthalmol Soc''. 1989;87:327-43; discussion 343-7. [https://pubmed.ncbi.nlm.nih.gov/2562522/ 연결]</ref>. == 병인 == 대부분 염증, 수술, 외상 등의 조직 손상에 대한 미성숙 모세혈관의 증식 섬유혈관 반응으로 발생하며 임...)
  • 2024년 3월 3일 (일) 02: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두정맥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두정맥염 (papillophlebitis)''' 은 시신경 기능에 이상이 없으며 편측 시신경에 부분적인 부종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정확한 발병 기전과 체계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이를 다룬 국내외 소수의 보고가 있었다<ref name=r1>Güngör İ et al. Papillophlebitis : Treatment of Vision Loss Due To SRF w Intravitreal Ranibizumab. ''Neuroophthalmology''. 2014 Oct 9;38(6)...)
  • 2024년 3월 2일 (토) 1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감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감압술 (orbital decompression)'''{{성형안과}} == 적응증 == * 압박 시신경병증으로 인한 시력 감소 * 노출 각막염 * 심한 안구 돌출로 인해 얼굴의 모습이 심하게 변형된 경우 등이다. 수술 기법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근래에는 미용적인 목적으로도 많이 시술되고 있다. == 종류 == 보통 안와 하벽과 내벽의 감압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외벽의 감압술이 복시와...)
  • 2024년 1월 30일 (화) 08: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롬페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롬페낙 (bromfenac)'''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의 하나이다. == 효과 == NSAID 점안제 중에서도 유리체 내 침투력이 높으며, 당뇨 황반부종 (DME), 포도막염에 의한 황반부종 (ME) 등 망막 질환에서 브롬페낙의 점안이 부종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14-16 또한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wAMD) 환자에서 유리체 내 주사 없이 브롬페낙 점안액 단독...)
  • 2024년 1월 30일 (화) 08:19 Smile 토론 기여님이 Ka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ane''' 공식은 인공 지능의 회귀 분석과 이론적인 광학을 기반으로 한 요소를 이용한 새로운 공식이다<ref>Szalai E et al. Comparison of various IOL formulas using a new high-resolution SS OCT. ''JCRS''. 2020 Aug;46(8):1138-1141. [https://pubmed.ncbi.nlm.nih.gov/32818329/ 연결]</ref>. {{참고}})
  • 2024년 1월 30일 (화) 08:17 Smile 토론 기여님이 EV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VO (emmetropia verifying optical)'''{{백내장}} 공식은 정시화 이론에 기반한 새로운 두꺼운 렌즈 공식으로 최근 개발되었다<ref>Zhao J et al. Accuracy of 8 IOL power calculation formulas for segmented MF IOL. ''Int J Ophthalmol''. 2020 Sep 18;13(9):1378-1384. [https://pubmed.ncbi.nlm.nih.gov/32953575/ 연결]</ref>. {{참고}})
  • 2024년 1월 29일 (월) 16: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근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상성 근시 (traumatic myopia)''' 는 안구 외상 후 발생하는 안구의 가변적 근시성 변화를 말하며, 1870년 Kugel이 외상 후 발생하는 근시에 대해 처음 발표하였으며 그 이후 외상 후 가변적 근시에 대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 역학 == 수상안에 주로 발생하고 종종 양안에 관찰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1.0~-6.0 D 까지 굴절률의 변화는 다양하고 갑자기 발생하여 가변적...)
  • 2024년 1월 29일 (월) 16:14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누 (bloody tears)''', 즉 피눈물을 흘리는 것은 매우 드문 의학적 상태이다. == 원인 ==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부터 혈관 기형, 염증성 육아종, 악성 종양을 포함한 결막 병변<ref>Ho VH et al. Bloody tears of unknown cause : case seri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4 Nov;20(6):442-7. [https://pubmed.ncbi.nlm.nih.gov/15599244/ 연결]</ref>, 코눈물주머니의 악성 종양, 뿐만 아...)
  • 2024년 1월 29일 (월) 1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 은 중추 신경계의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생성되는 수초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로, 이에 대한 항체가 발현되면 중추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켜 시신경염, 횡단 척수염과 같은 탈수초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ref>Schluesener HJ et al. A monoclonal Ab against a MOG induces relapses and demyelination in CNS...)
  • 2024년 1월 16일 (화) 10:1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사르코이드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사르코이드증 (ocular sarcoidosis)''' == 치료 == === 스테로이드 === 앞포도막염은 스테로이드 점안제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홍채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절 마비제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중간 또는 뒤포도막염의 경우 눈 주변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를 고려할 수 있다. 결막하, 테논낭하 또는 유리체강내 주사가 가능하다. Biodegradable dexamethasone implant<ref>Khur...)
  • 2024년 1월 1일 (월) 16: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설로덱시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설로덱시드 (sulodexide)''' 는 혈관벽의 구성 요소중 하나인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GAG) 으로, 당뇨 망막병증에서 사용되고 있다<ref>Song JH et al; DRESS Research Group. Effect of sulodexide in patients with NPDR : diabetic retinopathy sulodexide study (DRES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5 Jun;253(6):829-37. [https://pubmed.ncbi.nlm.nih.gov/25112845/ 연결]</ref><ref>Gericke A et al. Sulodexide reduces g...)
  • 2024년 1월 1일 (월) 1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저시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시력 (low vision)''' 은 충분한 치료나 굴절이상을 교정한 이후에도 시력에 장애가 남은 상태를 이른다<ref>WHO. Developing an action plan to prevent blindness at national, provincial and district levels, 2nd ed. Geneva : WHO and International Agency for the prevention of blindness, 2004;43-4.</ref>.)
  • 2024년 1월 1일 (월) 1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명 (blindness)''' {{참고}})
  • 2024년 1월 1일 (월) 1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 장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각 장애 (visual impairment)''' 란 실명저시력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참고}})
  • 2023년 12월 29일 (금) 15: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골막하 혈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골막하 혈종 (orbital subperiosteal hematoma)''' 은 드문 질환이다. == 원인 == * 외상성 (대부분) : 주로 안면부나 두부의 외상 후 바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ref>Pope-Pegram LD et al. Post-traumatic subgaleal hematoma w subperiosteal orbital extension. ''Surv Ophthalmol''. 1986 Jan-Feb;30(4):258-62. [https://pubmed.ncbi.nlm.nih.gov/3952648/ 연결]</ref>. 특히 남성 소아에게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원인이...)
  • 2023년 12월 29일 (금) 14:50 Smile 토론 기여님이 PD-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D-1 (programmed death-1)''' 은 T세포 또는 B세포표면에 붙어 있는 수용체로 암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리간드인 PD-L1과 상호작용을 한다. PD-1과 PD-L1이 결합하면 T세포는 암세포를 인식하지 못하여 공격하지 못하게 된다. {{참고}})
  • 2023년 12월 29일 (금) 14: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펨브롤리주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은 면역 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의 한 종류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 및 흑색종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단클론 면역글로불린G (immunoglobulin G, IgG) 항체이다. == 기전 == 단클론 IgG 항체는 T세포를 활성화하고 항종양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세포독성 T세포의 programmed death-1 (PD-1) 수용체를 차단한다<ref>Gangadhar TC et al. Clinical applicat...)
  • 2023년 12월 12일 (화) 04: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경색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경색 증후군 (orbital infarction syndrome)'''{{성형안과}} 은 안와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들에서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눈속 구조와 안와 구조물에 광범위한 허혈성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Borruat 등<ref name=r2>Borruat FX et al. Orbital infarction syndrome. ''Ophthalmology''. 1993 Apr;100(4):562-8. [https://pubmed.ncbi.nlm.nih.gov/8479716/ 연결]</ref>은 세 명의 환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 2023년 12월 12일 (화) 04: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HLH)''' 은 조직구 증식 증후군 (histiocytosis syndrome) 에 속하는 질환군이다. == 역학 == 주로 소아에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인의 발생률은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과거 고열을 동반한 다발성 장기부전 양상을 보인 원인 불명의 중증 환자들 중 상당수가 HLH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ref>Is...)
  • 2023년 12월 12일 (화) 0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발덴스트룀 거대글로불린혈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발덴스트룀 거대글로불린혈증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WM)''' 은 림프구 증식성 B세포 장애로 단클론성항체 면역글로불린 M (IgM) 의 과생성을 보이는 질환이다<ref>Gertz MA.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 a review of therapy. ''Am J Hematol''. 2005 Jun;79(2):147-57. [https://pubmed.ncbi.nlm.nih.gov/15929102/ 연결]</ref>.)
  • 2023년 12월 11일 (월) 14: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Mobile.j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여기의 자바스크립트는 모바일 사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로드됩니다: mw.loader.using('mobile.site.styles'))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