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8일 (수) 1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교감 신경 흥분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교감 신경 흥분제 (adrenergic agonist) " == 병태 생리 == * α1 수용체 : 자극하면 산동, 혈관 수축, 안압 상승, 눈꺼풀 조임이 나타난다. * α2 수용...)
- 2020년 3월 18일 (수) 1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바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카바콜 (carbachol) == 효과 == 무스카린 수용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면서 부교감 신경 흥분에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이중 효과를 나타낸다....)
- 2020년 3월 18일 (수) 1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필로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필로핀 (pilopine) 은 "4% pilocarpine을 고점도의 아크릴성 매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약제이다. == 과정 또는 용법 == 자기 전에 점...)
- 2020년 3월 18일 (수) 1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축동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축동제 (miotics) 는 아세틸콜린의 콜린성 효과와 흡사한 효과를 가지는 약제로서, 부교감 신경 흥분제 (parasympathomimetics), 콜린 작동제 (choline...)
- 2020년 3월 18일 (수) 1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한눈 치료 시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눈 치료 시도 (monocular therapeutic trial) 은 한쪽 눈에만 약물 치료를 시행하여 치료하지 않은 반대쪽 눈과 비교하여 사용한 약제의 안압 하...)
- 2020년 3월 18일 (수) 13: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역 한눈 치료 시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역 한눈 치료 시도 (reverse monocular therapeutic trial) 은 "<span style='color:blue;'>한쪽 눈에만 점안약제 한가지를 일시적으로 중단</span>하는 시도로,...)
- 2020년 3월 18일 (수) 1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수정체안 악성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공수정체안 악성 녹내장 (pseudophakic malignant glaucoma) 최근에는 백내장 적출 후 전방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와 녹내장 여과 수술과 후...)
- 2020년 3월 18일 (수) 1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수정체안 악성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수정체안 악성 녹내장 (aphakic malignant glaucoma) 은 통상적인 백내장 낭내 적출 후에도 발생하는데 대부분은 악성 녹내장이 있는 수정체...)
- 2020년 3월 18일 (수) 13: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안 악성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안 악성 녹내장 (phakic malignant glaucoma) 은 전형적인 악성 녹내장은 폐쇄각 녹내장의 수술 후에 발생한다. == 역학 == 발생 빈도는 0.6...)
- 2020년 3월 18일 (수) 13: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성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성 녹내장 (malignant glaucoma) 은 전방각이 좁은 눈에서 녹내장 수술 후에 전방이 얕아지거나 소실되면서 안압이 점점 상승되는 매우 심각...)
- 2020년 3월 18일 (수) 1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그란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그란트 증후군 (Grant syndrome) 이차 개방각 녹내장 중 드문 질환이다. == 임상 소견 == 섬유주 표면에 회색이나 연한 노란색의 염증성 침착물...)
- 2020년 3월 18일 (수) 1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 팽대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 팽대 녹내장 (phacomorphic glaucoma) 평균 수명이 높아짐에 따라 노인 백내장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백내장 팽대로 인한 수정체 녹내...)
- 2020년 3월 18일 (수) 13: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대적 동공 차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대적 동공 차단 (relative pupillary block) 은 "동공과 수정체 전면의 접촉성 차단으로 인해 발생되며 원발 폐쇄각 녹내장을 일으키는 기본...)
- 2020년 3월 18일 (수) 13:05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원 홍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원 홍채 증후군 (plateau iris syndrome) 은 고원 홍채형을 가진 눈에서 홍채 절제술을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압이 상승되는 경우를 말...)
- 2020년 3월 18일 (수) 13:04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원 홍채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원 홍채형 (plateau iris configuration) == 임상 소견 == 특징적인 해부학적 요인을 동반하는 형태로 중심 전방 깊이는 깊으나 주변 전방 깊이는...)
- 2020년 3월 18일 (수) 13:04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짓 고원 홍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짓 고원 홍채 (pseudoplateau iris) 는 홍채 및 섬모체의 낭종에 의해 고원 홍채형처럼 보일 수 있으며 초음파 생체 현미경으로 확진할...)
- 2020년 3월 18일 (수) 1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원 홍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원 홍채 (plateau iris) == 분류 == * 고원 홍채형 (plateau iris configuration) * 고원 홍채 증후군 (plateau iris syndrome) * 거짓 고원 홍채(pseudopl...)
- 2020년 3월 18일 (수) 13: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급성 폐쇄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급성 폐쇄각 녹내장 (subacute angle-closure glaucoma) == 증상 == 평소에는 특이한 자각 증세가 없으나 간헐적인 발작이 있을 때에는 눈이 약간...)
- 2020년 3월 18일 (수) 13:01 Smile 토론 기여님이 소안구 폐쇄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안구 폐쇄각 녹내장 (nanophthalmic angle-closure glaucoma) == 역학 == 원발 폐쇄각 녹내장보다는 젊은 연령에서 폐쇄각 녹내장이 발생한다. ==...)
- 2020년 3월 18일 (수) 1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소안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안구 (nanophthalmos) 는 일반적으로 안축 길이가 20mm 또는 그 이하의 작은 안구를 지칭한다.)
- 2020년 3월 18일 (수) 1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복합 기전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방수 유출의 장애를 동반하면서 좁은 전방각의 기전이 함께 작용하는 녹내장의 복합형이 보고되면서, 복합 기전 녹내장 (combined mechanism gla...)
- 2020년 3월 18일 (수) 08:56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터스 이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터스 이상 (Peters' anomaly) 은 출생시부터 발견되는 중심부 각막 혼탁이다. 1906년 Peters는 이 질환이 수정체 표면 외배엽에서 불완전하게 분...)
- 2020년 3월 18일 (수) 08: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일광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일광 망막병증 (solar retinopathy) 은 "태양빛에 직, 간접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망막 손상이며, 다른 용어로 중심와 황반망막염 (foveoma...)
- 2020년 3월 18일 (수) 08:52 Smile 토론 기여님이 클로로퀸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클로로퀸 망막병증 (chloroquine retinopathy) "클로로퀸은 말라리아 치료제로 처음 사용된 이래 요즘은 류마티스양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
- 2020년 3월 18일 (수) 08:52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망막병증 (hydroxychloroquine retinopathy; HCQ retinopathy)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치...)
- 2020년 3월 18일 (수) 08:51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목시펜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목시펜 망막병증 (tamoxifen retinopathy) 타목시펜은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에스트로겐 약제이다. == 독성 용량 == 과용량(60~100mg/㎡)을 1...)
- 2020년 3월 18일 (수) 08:51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정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정 망막병증 (crystalline retinopathy) 은여러가지 독물학적 또는 유전적 이상, 그리고 만성 전망막박리 환자에서 동반되고 있다. == 원인 == * c...)
- 2020년 3월 18일 (수) 08:50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에티 결정 망막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에티 결정 망막증 (Bietti's crystalline retinopathy) 특히 비교적 드문 이 질환은 1937년 Bietti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주변부 각막에 결정이...)
- 2020년 3월 18일 (수) 08: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와그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와그너 증후군 (Wagner syndrome) 1938년 Wagner는 스위스의 한 가족 구성원 16명에서 망막, 유리체, 수정체 변성에 대해 처음으로 기술했으며 첫...)
- 2020년 3월 18일 (수) 07: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면역 부종양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가면역 부종양 망막병증 (autoimmune paraneoplastic retinopathy) 폐의 소세포암이나 자궁 경부암 중 소세포 미분화형에서는 암의 원격효과로 심...)
- 2020년 3월 18일 (수) 07: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텐 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바텐 병 (Batten diseas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NCL) 은 진행성 신경 퇴행성 질환군으로 리소좀 내 다양한 물질이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 2020년 3월 18일 (수) 07: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프숨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프숨 증후군 (Refsum syndrome) 은 "과산화소체 질환으로 진행성 신경병증, 난청, 간질환, 골격근계 이상 및 색소성 망막병증을 특징으로 하...)
- 2020년 3월 18일 (수) 07: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르데-비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920년 처음 Bardet에 의해 기술된 바르데-비들 증후군 (Bardet-Biedl syndrome) 은 망막병증, 다지증과 선천성 비만을 특징으로 하였으나 1922년 Biedl...)
- 2020년 3월 18일 (수) 07: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흰점 망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흰점 망막염 (retinitis puntata albescens) == 임상 소견 == 안저 전반에 걸쳐 다양한 크기의 희고 노란 반점들이 관찰되어 마치 흰점 망막병증...)
- 2020년 3월 18일 (수) 07: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동맥 주변 망막 색소 상피 보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세동맥 주변 망막 색소 상피 보존 (preserved para-arteriolar retinal pigment epithelium; PPRPE)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양상의 유전 형태를 가진다. ==...)
- 2020년 3월 18일 (수) 07:28 Smile 토론 기여님이 골드만-파브레 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골드만-파브레 병 (Goldmann-Favre disease) 은 원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며, 유리체 망막 이상증으로 주변부의 망막 층간분리, 맥락망막의 위축,...)
- 2020년 3월 18일 (수) 07: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막 삼출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도막 삼출 증후군 (uveal effusion syndrome; UES) 은 "맥락막 상강 공간과 장액 망막 박리 내의 유체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 안질환으로...)
- 2020년 3월 18일 (수) 07: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방 색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방 색전 증후군 (fat embolism syndrome) == 역학 == 장골 골절 환자의 5%에서 발생된다. 임상 증상은 보통 외상 후 24~48시간 사이에 시작되며, 많...)
- 2020년 3월 18일 (수) 07: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결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결출 (optic nerve avulsion) 은 시신경이 망막, 맥락막, 유리체로부터 분리되고, 사상판은 공막으로부터 당겨진 경우를 말한다. Salzmann에...)
- 2020년 3월 18일 (수) 07: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망막 색소 상피 파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병태 생리 == Levin et al은 둔상으로 발생한 안구의 확장이 급격한 시력 방향의 견인을 일으켜 망막 색소상피와 브루크막을 파열한다고 생...)
- 2020년 3월 18일 (수) 07: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망막 해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상성 망막 해리 (traumatic retinal dialysis) == 역학 == 외상성 망막 박리 환자에서 많게는 84%까지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구 둔상...)
- 2020년 3월 18일 (수) 07: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망막 열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상성 망막 열공 (traumatic retinal tear) == 역학 == 대부분 외상 직후 발생하며, 상이측에 가장 많이 위치한다.)
- 2020년 3월 18일 (수) 07: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상성 황반 원공 (traumatic macular hole; traumatic MH) "1869년 Knapp이 안외상 후 황반 출혈을 동반한 황반 원공에 대해 처음으로 증례를 보고하...)
- 2020년 3월 18일 (수) 07: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파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파열 (choroidal rupture) 은 1854년 von Graefe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둔상에 의해 안구가 앞뒤로 눌려지고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 2020년 3월 18일 (수) 07: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진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진탕 (commotio retinae) 은 "1873년 Berlin에 의해 처음 기술된 용어로 <span style='color:blue;'>안구에 둔상을 입은 후 망막이 일시적으로 백색화...)
- 2020년 3월 18일 (수) 07:22 Smile 토론 기여님이 푸르처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푸르처 망막병증 (Purtscher's retinopathy) Purtscher는 1912년 머리에 심한 외상을 입은 환자에서 두 눈 후극부 망막에 다발성의 백색 반점, 망막...)
- 2020년 3월 18일 (수) 07: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거운 실리콘 기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거운 실리콘 기름 (heavy silicone oil; heavy SO) 기존의 실리콘 기름은 비중이 물보다 낮아, 하부에 발생하는 망막 열공 및 망막 박리의 경우...)
- 2020년 3월 18일 (수) 04: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루크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루크막 (Bruch's membrane) 은 "어린이에서 2㎛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나 <span style='color:blue;'>나이를 먹음에 따라서 두께가 증가</span>한다. 성...)
- 2020년 3월 18일 (수) 04: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뮬러 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뮬러 세포 (Muller cell) 는 약 150㎛의 길이로 망막 전층에 걸쳐 망막 전역에 분포한다. <span style='color:blue;'>세포체가 외경계막에서부터 ...)
- 2020년 3월 18일 (수) 04: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성상 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성상 세포 (astrocyte) 는 시신경 유두를 중심으로 내과립층보다 내층에 분포하며 후극부에 많고 주변부에는 적다. 주로 신경절 세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