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9일 (목) 06: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짜이스 사면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짜이스 사면경 (Zeiss 4-mirror lens) 의 거울의 각도는 64˚로 되어 있다. == 장점 == * 각막에 접촉하는 면의 반경은 7.85mm로 각막의 곡률 반경과...)
- 2020년 3월 19일 (목) 06: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쾨페 전방각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쾨페 전방각경 (Koeppe goniolens)</b> 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50D 의 오목볼록 렌즈이며 그 자체가 *5배의 확대율이 있다. == 장점 == * 전...)
- 2020년 3월 19일 (목) 0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외츠 안압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외츠 안압계 (Schiotz tonometer) 의 본체는 각막 위에 올려놓는 발판을 가지고 있다. 공이는 발판의 자루 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인다. 공이는...)
- 2020년 3월 19일 (목) 0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막-공막 유출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포도막-공막 유출로 (uveoscleral outflow)</b> 은 전방각에 있는 홍채 뿌리와 섬모체를 통하여 공막 바깥으로 유출되는 방수로를 말한다. == 역...)
- 2020년 3월 19일 (목) 06: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congenial hereditary endothelial dystrophy; CHED) == 역학 == 드문 질환이다. == 유전 == 상염색체 우성 또는 열성 유전을 한다. ==...)
- 2020년 3월 19일 (목) 06:18 Smile 토론 기여님이 X염색체 연관 각막 내피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X염색체 연관 각막 내피 이상증 (X-linked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XECD) == 역학 == 남성이 여성보다 증상이 심하다. == 유전 == X염색체(Xq25)의 이...)
- 2020년 3월 19일 (목) 06:17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부 각막 소수포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부 각막 소수포 증후군 (posterior corneal vesicle syndrome) 은 후부 다형 각막 이상증과 비슷하게 소수포나 띠 모양의 병변이 단안에만 존재...)
- 2020년 3월 19일 (목) 06: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앞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데스메막앞 각막 이상증 (pre-descemet corneal dystrophy; PDCD)</b> 은 산발적으로 혹은 나이와 관련된 변성을 포함하여 심부 기질에 점모양 혼탁...)
- 2020년 3월 19일 (목) 06: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유전 기질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 유전 기질 이상증 (congenital hereditary stromal dystrophy; CSCD)</b> 는 기질의 아교 섬유 발생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으로 비진행성 혹은 서서...)
- 2020년 3월 19일 (목) 0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부 무형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부 무형 각막 이상증 (posterior amorphous corneal dystrophy; PACD) == 유전 ==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하며, 소수는 유전 없이 선천적으로 발생한다. =...)
- 2020년 3월 19일 (목) 06: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혼탁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중심 혼탁 이상증 (central cloudy dystrophy of Francois)</b> == 유전 == 유전 양상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하는 경우가...)
- 2020년 3월 19일 (목) 06: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근깨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주근깨 각막 이상증 (fleck corneal dystrophy; FCD)</b> 은 speckled dystrophy, mouchetee dystrophy라고도 부르며, 환자가 출생할 때부터 병변이 존재한다....)
- 2020년 3월 19일 (목) 06:1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격자 각막 이상증 2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격자 각막 이상증 2형 (lattice corneal degeneration type 2; LCD2)</b> 은 격자 각막 이상증 gelsolin type, lattice-like dystrophy, FAF(familial amyloidosis, Finnish),...)
- 2020년 3월 19일 (목) 06:12 Smile 토론 기여님이 티엘-벵케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티엘-벵케 각막 이상증 (Thiel-Behnke corneal dystrophy; TBCD) == 임상 소견 == 출생 시에는 병변이 존재하지 않으며, 시력 저하가 라이스-뷔클러 각...)
- 2020년 3월 19일 (목) 06:12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우만막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보우만막 각막 이상증 (corneal dystrophy of Bowman's layer; CDB) == 분류 == * 1형 : 라이스-뷔클러 각막 이상증 (Reis-Bucklers' corneal dystrophy) * 2형 : ...)
- 2020년 3월 19일 (목) 06:11 Smile 토론 기여님이 Mucus fishing syndrom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건성안이나 알레르기 결막염, 아토피, 각막 이물, 결막 편평세포암 등 결막의 점액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눈에 과도...)
- 2020년 3월 19일 (목) 06: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뮌하우젠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뮌하우젠 증후군 (Munchausen syndrome) 은 만성적인 형태의 인위성 장애로 빈번한 입원, 자해, 수술 치료의 병력 등이 특징이다. 또한 부모가 자...)
- 2020년 3월 19일 (목) 06: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위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인위 각결막염 (factitious keratoconjunctivitis)</b> 은 "고의로 자신의 눈에 해를 가하여 생기는 각결막의 염증을 말한다. 정신병적인 이상을 동...)
- 2020년 3월 19일 (목) 06: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부 기질 천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986년 McLean 등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진무름 환자에서 20게이지 곧은 주사침으로 상피를 통과해 전부 기질에 여러 개의 얕은 천자를 가...)
- 2020년 3월 19일 (목) 06:06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층 각막 절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b> 는 보통 수술 현미경 하에서 시행되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 방법이다. == 적응증 == 외상 병력이 없...)
- 2020년 3월 19일 (목) 06: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처그-스트라우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처그-스트라우스 증후군 (Churg-Strauss syndrome; CSS)</b> 은 베게너 육아종증이나 결절 다발 동맥염과 유사한 혈관염을 동반하는 질환이...)
- 2020년 3월 19일 (목) 03:56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절 다발 동맥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절 다발 동맥염 (polyarteritis nodosa; PAN)</b> 은 여러 장기에 질환을 유발하는 작거나 중간 크기인 동맥의 혈관염을 말하며, 결절 동맥 주...)
- 2020년 3월 19일 (목) 03: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람막이 와이퍼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바람막이 와이퍼 증후군 (windshield wiper syndrome)</b> 은 위쪽 지지부가 머리나 눈 움직임에 따라 자동차 와이퍼처럼 좌우로 왔다갔다 하는...)
- 2020년 3월 19일 (목) 0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게너 육아종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베게너 육아종증 (Wegener's granulomatosis; WG)</b> 은 상하 호흡기 혈관의 괴사 육아종 염증과 사구체 신염, 다른 기관의 소혈관 염증이 특징적...)
- 2020년 3월 19일 (목) 03: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뜨는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뜨는해 증후군 (sunrise syndrome)</b> 은 인공수정체가 12시 방향으로 위치 이상이 있는 것을 말한다. == 원인 == * 비대칭적인 지지부의 고정 (...)
- 2020년 3월 19일 (목) 0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는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지는해 증후군 (sunset syndrome)</b> 은 후낭 인공수정체의 아래쪽 지지부가 고정되지 않아 마치 지는해 모양으로 아래로 가라앉는 것이다. =...)
- 2020년 3월 19일 (목) 03: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엑시머 레이저 표면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엑시머 레이저 표면 절제술 (excimer laser surface ablation)</b> 은 각막 기질의 부분층 절개 없이 상피를 처치한 후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하여...)
- 2020년 3월 19일 (목) 03:48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 노출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공막 노출법 (bare scleral method)</b> 은 1948년 D'Ombrain이 군날개의 두부와 체부를 비측 안쪽 눈구석까지 절제하고 공막 부분은 노출된 채...)
- 2020년 3월 19일 (목) 03: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알파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알파코 (AlphaCor) 인공 각막 (Addition Technology Inc., Des Plaines, IL) 은 Chirila와 그의 동료들이 호주에서 개발했다. pHEMA(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 2020년 3월 19일 (목) 0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스톤 인공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보스톤 인공 각막 (Boston keratoprosthesis) 은 이전에 Dohlman-Doane 인공 각막으로 알려졌고 Boston KPro™ 으로도 불리며, Massachusetts Eye & Ear 병원과 S...)
- 2020년 3월 19일 (목) 03:45 Smile 토론 기여님이 골-치아 인공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골-치아 인공 각막 (osteo-odonto-keratoprosthesis; OOKP) 은 1960년대 Strampelli이 이탈리아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Falcinelli가 이를 변형했다. 환자...)
- 2020년 3월 19일 (목) 03: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인공 각막 (keratoprosthesis)</b> 은 질병이나 감염에 의해 혼탁해진 각막을 인공 각막으로 대체하는 것을 처음으로 제안했던 Guillaume Pillier de...)
- 2020년 3월 19일 (목) 03: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줄기 세포 결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윤부 줄기 세포 결핍 (limbal stem cell deficiency; LCD)</b> == 원인 == * 선천성 :- 무홍채증 :- 외배엽 이형성증 * 외상성 :- 화학 화상 :- 열 화상...)
- 2020년 3월 19일 (목) 03: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앞층판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앞층판 각막 이식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b> 은 각막의 내피 세포가 건강한 상태에서 실질의 혼탁 또는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이식법...)
- 2020년 3월 19일 (목) 03: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회전 자가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회전 자가 이식 (rotating autograft)</b> 비진행성 각막 반흔이 각막 주변부로부터 중심 시축에 걸쳐 있을 때는 반흔 부위가 중시멩서 벗어나...)
- 2020년 3월 19일 (목) 0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구조적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구조적 각막 이식 (tectonic corneal transplantation)</b> 각막의 병변이 아주 작거나 일부분에 편중된 경우 전체 각막 이식을 하기보다 병변이 있...)
- 2020년 3월 19일 (목) 03:35 Smile 토론 기여님이 화학 화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화학 화상 (chemical burn)</b> 일반적으로 산에 의한 손상은 안구 표면에 국한되고 알칼리에 의한 손상은 안구 조직 내로 침투하여 더 심한...)
- 2020년 3월 19일 (목) 03: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열 화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열 화상 (thermal burn)</b> 은 열에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손상을 말한다. == 분류 == * 화염에 의한 화상 (flame burn) : 불에 의한 것으로 안면...)
- 2020년 3월 19일 (목) 0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JRA) " == 역학 == 우리나라에서는 빈도가 아직 조사된 바가 없으나, 미국의 보고에 의하면 지...)
- 2020년 3월 19일 (목) 0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 소아 관절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특발 소아 관절염 (idiopathic juvenile arthritis)</b> 은 16세 이전에 발생하여 6주 이상 지속되는 명백한 관절염이다. == 분류 == * 첫번째 군 : 소...)
- 2020년 3월 19일 (목) 0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감염 공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감염 공막염 (infectious scleritis)</b> == 역학 == 감염에 의한 경우는 드물어 3차 병원에 오는 환자의 4~18%를 차지한다. == 분류 == * 외인성 감염...)
- 2020년 3월 19일 (목) 03: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면역 연관 공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면역 연관 공막염 (immune related scleritis)</b> == 역학 == 어느 연령에서나 나타날 수 있으나 30~5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보다(*6...)
- 2020년 3월 19일 (목) 03: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당뇨 각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에서는 당뇨로 인한 전형적 소견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여러 미세 구조와 기능상의 변화가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b>당뇨 각막병증 (dia...)
- 2020년 3월 19일 (목) 0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화농 육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의 <b>화농 육아종 (pyogenic granuloma)</b> 은 혈관 내피 세포와 육아 조직의 반응성 증식인데, 육아종성 염증은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 용어...)
- 2020년 3월 19일 (목) 03:2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모세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막 모세혈관종 (conjunctival capillary hemangioma)</b> 은 빨리 자라는 결막 병변이다. 대개 화농 육아종의 이형으로 간주된다. == 역학 == 이전...)
- 2020년 3월 19일 (목) 03: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탄력 섬유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 탄력 섬유종 (elastofibroma oculi)</b> 은 두꺼운 아교질 다발과 선상의 호탄성 조직, 지방 조직 등으로 구성된 드문 거짓 종양 병변이다. ==...)
- 2020년 3월 19일 (목)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절 근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절 근막염 (nodular fasciitis)</b> 은 미성숙 결합 조직으로 구성되며 빠르게 자라는 병변이다. == 조직병리 == 세포화가 잘 되어 있고, 구역...)
- 2020년 3월 19일 (목) 0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물사마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물사마귀 (molluscum contagiosum)</b> 는 결절성 눈꺼풀 병변이며, 2차로 각결막염이 나타날 수 있다. 결막을 직접 침범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 2020년 3월 19일 (목) 0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포시 육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카포시 육종 (Kaposi's sarcoma)</b> 은 드문 종양이지만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 환자들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정상 면역 상태...)
- 2020년 3월 19일 (목) 0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호산 과립세포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호산 과립세포종 (oncocytoma) 은 눈물 언덕과 눈물샘, 결막의 덧눈물샘의 관상피세포로부터 발생하는 드문 종양이다. 눈꺼풀 아포크린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