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개 기록
보이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4월 24일 (금) 00: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직 후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직 후퇴 증후군 (vertical retraction syndrome)</b> 은 수직근의 비정상적인 신경 지배가 원인으로 생각되며 이환된 눈의 상전이나 하전 장애...)
- 2020년 4월 23일 (목)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봉합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봉합사 (suture) == 분류 ==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속도에 따라 분류 * 흡수사 : 조직 내에서 빨리 분해되어 60일 이내에 신장 강도 (tensile strengt...)
- 2020년 4월 23일 (목)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술 칼 (blade)</b> == 종류 == * 11번 칼 : 칼 끝이 뾰족하기 때문에 곡선이나 각진 절개부에 유용하나 비교적 절개 부위가 긴 경우에는 수술...)
- 2020년 4월 21일 (화) 0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냉동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섬모체 냉동술 (cyclocryotherapy)</b> 은 냉동 막대로 세포내 얼음 결정 형성과 허혈성 괴사를 야기함으로써 섬모체 돌기의 상피를 파괴하여...)
- 2020년 4월 14일 (화) 06:43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화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공막화 각막 (sclerocornea)</b> 은 눈의 선천적 기형으로 각막이 공막과 혼합되어 뚜렷한 경계가 없다. 혼탁의 범위는 주변부부터 전체 (scler...)
- 2020년 4월 7일 (화) 03: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색각 이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인에게서는 적어도 세 가지 원색을 적당하게 혼합하면 모든 색채를 표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색각을 삼색시 (trichromatic vision) 라 하...)
- 2020년 4월 7일 (화) 0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색각 (color vision)</b>, 즉 색의 감지는 물리적 현상이 아닌 감각적 현상이며, 인간의 색 감지는 주관적인 시각 경험에 의해 특정한 색을 구...)
- 2020년 4월 7일 (화) 0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분수계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분수계역 (watershed zone)</b> 은 두 개 이상의 끝동맥이 각각 분포하는 영역 사이의 경계 부위로서, 뒤섬모체 동맥에서 세동맥에 이르기까...)
- 2020년 4월 7일 (화) 0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모세혈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맥락막 모세혈관 (choriocapillaris)</b> 은 브루크막에 인접한 단층의 모세혈관층으로 매우 얇은 벽을 가진 비교적 큰 직경 (40~60㎛)의 모...)
- 2020년 4월 7일 (화) 0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간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맥락막 간질 (choroidal stroma)</b> 은 여러 가지 세포,교원질 섬유 및 신경 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관은 동맥,정맥이 모두 분포하...)
- 2020년 4월 7일 (화) 02:5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상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맥락막 상강 (suprachoroid)</b> 은 맥락막의 제일 바깥층으로 공막 갈색판 (lamina fusca sclerae) 의 내층과 맥락막 간질의 큰 혈관층의 사이에...)
- 2020년 4월 7일 (화)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맥락막 (choroid)</b> 은 우리 몸에서 단위 무게,단위 시간 당 혈류량이 가장 많은 곳 중의 하나로,단위 무게 당 맥락막 혈류량 은 콩팥...)
- 2020년 4월 7일 (화) 02: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중심와 (fovea)</b> 는 임상적으로 황반 (macular lutea) 이라고 칭한다. 중심와는 직경이 약 1.5 mm, 혹은 1 유두 직경 정도되는 함몰되어 있는 부...)
- 2020년 4월 7일 (화) 02: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망막 (retina)</b> 은 위치에 따라 두께가 약 0.1 mm 에서 0.5mm 까지 변하는 얇고 투명한 막이다. 중심와 주변이 가장두껍고 중심와 배꼽 부위...)
- 2020년 4월 7일 (화)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와 (orbit)</b> 는 눈알이 들어 있는 뼈로서 코의 양쪽에 있다. 앞면을 기저로 한 안팎과 위아래의 네 면을 가진 피라미드 모양이지만, 뒤...)
- 2020년 4월 3일 (금) 04: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판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판누스 (pannus)</b> 는 무혈관화 혹은 혈관화된 섬유화의 형태로, 보우만층 바로 뒤의 전부 기질로 자랄 수 있다.)
- 2020년 4월 2일 (목) 05: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꺼풀염 (blepharitis)</b> 은 안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질환 중 하나이다. 환자와 임상 의사 모두에게 경계를 한정 짓기 어려...)
- 2020년 4월 2일 (목) 05: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결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구 결막 (bulbar conjunctiva)</b> 은 눈꺼풀 결막에 비해 훨씬 느슨하게 심부 조직인 테논낭에 붙어 있지만 예외적으로 윤부에서는 단단...)
- 2020년 4월 2일 (목) 0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결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꺼풀 결막 (palpebral conjunctiva)</b> 은 눈꺼풀판에 단단히 붙어 있으므로 눈꺼풀판으로부터 결막을 분리하기가 어렵다. 각막과 닿는 면을...)
- 2020년 3월 26일 (목) 05:29 Smile 토론 기여님이 WESD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위스콘신 당뇨 망막병증 역학 연구 (Wisconsin epidemiology study of diabetic retinopathy; WESDR)</b>)
- 2020년 3월 26일 (목)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낭 파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현대에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소절개 백내장 수술은 수술 기법과 기구의 발달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굴절 백내장 수술을 목표로 할 만...)
- 2020년 3월 26일 (목) 01: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술후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술후 안내염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b> 은 백내장 수술 후 드물게 발생하긴 하나, 일단 발생하면 굉장히 무서운 합병증을 초래한다. 만...)
- 2020년 3월 26일 (목) 01: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 축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전방 축농 (hypopyon)</b>)
- 2020년 3월 26일 (목) 00:47 Smile 토론 기여님이 펨토초 레이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펨토초 레이저 (femtosecond laser) 는 초단파 펄스 (ultrashort pulse) 레이저 중 하나이며, 근적외선이고 미리 정해진 깊이에 초점을 맺어 눈조직을...)
- 2020년 3월 26일 (목) 00: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렌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렌자 (LensAR) 는 LensAR Inc. (Winter Park, FL) 에 의해 제작되었다. 샤임플러그 이미지를 사용하며 눈을 고정하기 위해서 spring-loaded syringe가 연결...)
- 2020년 3월 26일 (목)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탈리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카탈리스 (Catalys) 레이저</b> (class IIb; GMDN; 57995 femtosecond ophthalmic Yb: Glass laser system) 는 Optimedica corporation (Santa Clara, CA) 에 의해 제작되었다....)
- 2020년 3월 26일 (목)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렌젝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렌젝스 (LenSx) 레이저</b> (Class IIb; GMDN, 57995 femtosecond ophthalmic Yb: Glass laser system) 는 Alcon/LenSx (Aliso Viejo, CA, USA) 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미국...)
- 2020년 3월 26일 (목)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펨토초 레이저 이용 백내장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펨토초 레이저 이용 백내장 수술 (femtosecond laser assisted cataract surgery; FLACS) 각막 굴절 교정에서 펨토초 레이저의 적용은 향상된 정확성...)
- 2020년 3월 24일 (화) 06: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극등 현미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세극등 현미경 (slit lamp biomicroscopy)</b> 은 빛을 전달하는 조명 부분과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명 부분은 빛...)
- 2020년 3월 24일 (화) 05:4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윤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각막 윤부 (limbus)</b> 는 각막과 결막 및 공막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역으로, 병리학적으로는 보우만막이 끝나는 부위와 데스메막이 끝나...)
- 2020년 3월 24일 (화) 05:44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내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스메막의 후면은 단층의 <b>각막 내피 세포 (cornea epithelium)</b> 가 덮고 있으며 규칙적인 모자이크 형태의 배열을 나타낸다. 내피 세포의...)
- 2020년 3월 24일 (화) 05: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데스메막 (Descemet's membrane)</b> 은 각막 내피에서 분비되는 바닥막으로서 두께는 출생 시 3㎛ 정도이며, 점점 두꺼워져 성인이 되면 8~10㎛...)
- 2020년 3월 24일 (화) 0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기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각막 기질 (cornea stroma)</b> 은 두께가 각막 전체의 90%에 해당하며 각막의 물리적 강도, 형태의 안정성, 투명도 등 여러 특징들이 기질의...)
- 2020년 3월 24일 (화) 0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우만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보우만막 (Bowman's membrane)</b> 은 광학 현미경에서 각막 기질 앞쪽에 세포가 없는 무정형의 막 형태 구조물로 관찰되며, 두께는 약 12㎛ 이...)
- 2020년 3월 24일 (화)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상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각막 상피 (cornea epithelium)</b> 는 비각질 중층 편평 상피 세포 (non-keratiniz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al cell) 로 이루저여 있으며, 두께는 50㎛...)
- 2020년 3월 24일 (화) 05:30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각막 (cornea)</b> 은 공막과 함께 안구 외막을 형성하며, 안구 표면의 앞쪽 1/6을 차지한다. 각막은 안구의 투명한 창으로서 빛의 전달과...)
- 2020년 3월 24일 (화) 00:13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CXL)</b> 은 각막 기질을 단단하게 만들어 원추 각막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중심 각막상...)
- 2020년 3월 24일 (화) 00:13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술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23일 (월) 16: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접촉 피부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접촉 피부 결막염 (contact dermatoconjunctivitis)</b> 은 흔한 약물 반응으로, T림프구가 인근의 림프절에서 민감화된 후 제 4형 지연 과민 반응...)
- 2020년 3월 23일 (월) 1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바이러스 결막염 (viral conjunctivitis)</b> 은 결막염의 흔한 원인으로, 대부분 여포 결막염을 일으킨다. 여포는 표층 결막 기질...)
- 2020년 3월 23일 (월) 15:32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육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막 육아종 (conjunctival granuloma)</b> 은 항상 기질을 침범한다. 결막 육아종은 사르코이드증이나 잠재된 이물에 의해 발생하며, 파리노드...)
- 2020년 3월 23일 (월) 08: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독스 봉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독스 봉 검사 (Maddox rod test) 마독스 봉 (Maddox rod) 은 원주 렌즈의 봉을 평행으로 나열한 적색 안경으로서 광원을 보았을 때 봉의 수직 방...)
- 2020년 3월 23일 (월) 07:51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짓 동색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짓 동색표 (pseudo-isochromatic plate) == 종류 == * 이시하라 색각 검사 * 한식 색각 검사 * HRR 색각 검사)
- 2020년 3월 23일 (월) 07:48 Smile 토론 기여님이 한식 색각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한식 색각 검사 (Hanh color vision test)</b> 는 제 1부 색각 이상 검출표 12매와 제 2부 색각 이상 분류 및 정도 구분표 9매, 합계 21매로 구성되...)
- 2020년 3월 23일 (월) 06: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란돌트 고리 시력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란돌트 고리 시력 검사 (Randolt ring acuity test)</b> == 시력표 == 0.1 에서 2.0 까지의 시표가 몇 개씩 나란히 쓰여져 있는 병렬 시력표와 각 시...)
- 2020년 3월 23일 (월) 05: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방사선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 방사선 촬영 (simple radiograph) == 촬영 방법 == * 전후위 및 후전위 촬영 : 머리뼈 및 안면 전체의 파악에 적당하다. 즉 머리뼈 원개부, 봉...)
- 2020년 3월 23일 (월) 05: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치료 콘택트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치료 콘택트 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 == 분류 == * 고함수율의 렌즈 : 두께 0.15~2.0mm, 함수량 70~80% * 중간 두께의 렌즈 * 초박 (ultrathin) 렌...)
- 2020년 3월 23일 (월) 05: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치료용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23일 (월) 04: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난점 E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난점 E 검사 (random dot E test)</b> 는 편광 필터와 random dot stereogram을 조합한 검사법으로 한 눈 단서가 거의 없어 소아들의 입체시 집단 검진...)
- 2020년 3월 23일 (월) 04: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적색 필터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적색 필터 검사 (red filter test)</b> 는 사시 환자에서 억제, 이상 망막 대응, 복시 및 사시각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검사법이다. == 검사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