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4월 12일 (화) 07:49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라솔 눈물점 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라솔 눈물점 마개 (Parasol punctum plug™)'''{{각막}} == 종류 == * 작은 크기 (small) : 0.35~0.65 mm 의 눈물점 크기 * 중간 크기 (medium) : 0.60~0.85 mm...)
- 2022년 4월 12일 (화) 07: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뭉크 점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뭉크 점수 (Munk score)''' 는 뭉크 척도 (Munk scale) 라고도 한다. == 분류<ref>Munk PL et al. Epiphora : treatment by means of dacryocystoplasty w balloon dilation of...)
- 2022년 4월 11일 (월) 16: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플라마드라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플라마드라이 (InflammaDry®)'''{{각막}} (Quidel, San Diego, CA, USA) 는 눈물 내 MMP-9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구이다. {{외부사진 |주소=https:/...)
- 2022년 4월 11일 (월) 05: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사이패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이패스 (Cypass)'''{{녹내장}} (Alcon, Fort Worth, TX, USA))
- 2022년 4월 11일 (월)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이드루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이드루스 (Hydrus®)'''{{녹내장}} (Ivantis, Irvine, CA, USA) 는 섬유주를 직접 우회하여 방수를 쉴렘관으로 배출하는 쉴렘관 스텐트 (s...)
- 2022년 4월 8일 (금) 01: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달리무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달리무맙 (adalimumab)''' (Humira®, AbbVie, Chicago, IL, USA) 은 완전 인간 단일 클론 론 IgG1 TNF-α 항체이다. == 효과 == 비감염성 포도막염의 치료...)
- 2022년 4월 7일 (목) 15: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침공 마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침공 마취 (pinpoint anesthesia)''' {{참고}})
- 2022년 4월 7일 (목) 11: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페닐에프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페닐에프린 (phenylephrine)''' 은 합성된 유사교감성 아민이다. == 효과 == 홍채 산대근에 존재하는 α-교감신경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동공...)
- 2022년 4월 7일 (목) 05:54 Smile 토론 기여님이 트로피카마이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트로피카마이드 (tropicamide)''' {{참고}})
- 2022년 4월 7일 (목) 03: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클로펜톨레이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클로펜톨레이트 (cyclopentolate)'''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cyclopentolate HCl 10mg/mL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2022년 4월 6일 (수) 1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트로핀 (저농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아트로핀 0.125% (atropine sulfate hydrate 1.25mg/mL) 약제의 종류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2022년 4월 6일 (수) 1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트로핀 (저농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아트로핀 처벌 치료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6일 (수) 14: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트로핀 (저농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트로핀 (저농도)'''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아트로핀 0.125% (atropine sulfate hydrate 1.25mg/mL) 약제의 종류 |- !제품명...)
- 2022년 4월 6일 (수) 1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경 (glasses)'''{{소아사시}} == 소아의 처방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굴절 교정 지침 |- !||1세 미만|...)
- 2022년 4월 6일 (수) 08:01 Smile 토론 기여님이 Anti-VEG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4월 6일 (수) 04:17 Smile 토론 기여님이 MIG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4월 1일 (금) 08: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소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시신경 유두 오목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일 (금) 0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화학적 망막 손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돋보기로 태양빛을 모아 신문지를 태우는 것처럼, 1960년 대까지는 태양을 오랜 시간 쳐다보면 망막이 광열손상, 즉 화상을 입는다는 생각...)
- 2022년 4월 1일 (금)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열 망막 손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광열 망막 손상 (photothermal retinal damage)'''{{망막}} 의 가장 흔한 소견은 출혈이나 구멍을 동반하지 않은 광응고 화상이다. == 기전 ==...)
- 2022년 4월 1일 (금) 01:08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기계적 망막 손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광기계적 망막 손상 (photomechanical retinal damage)''' 의 가장 흔한 소견은 망막 출혈 또는 열공 발생이다. == 기전 == === 광파괴 === 광파괴...)
- 2022년 3월 31일 (목) 06: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격자 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격자 변성 (망막)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10:47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상 포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대상포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10: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두 대상 포진 바이러스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09: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포진 눈꺼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포진 눈꺼풀염 (herpes simplex blepharitis)'''{{각막}} 은 1차 감염이나 재발로 발생할 수 있다. == 역학 == 드물게 발생하므로 놓치는 경우가...)
- 2022년 3월 27일 (일) 09:04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단순포진 결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08: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congenital HSV infection)'''{{각막}} == 역학 == 대단히 드물다. 미국의 경우 해마다 1,500~2,000건의 새로운 신생...)
- 2022년 3월 27일 (일) 08: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포진 각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단순포진 각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08: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발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원발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08: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단순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08: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포진 바이러스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단순포진 바이러스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타민 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타민 E (vitamin E)''' == 종류 == * 토코페롤 (tocophenol) ** α-토코페롤 ** β-토코페롤 ** γ-토코페롤 ** δ-토코페롤 * 토코트리에놀 (tocotrienol) *...)
- 2022년 3월 23일 (수) 14: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성염색체 유전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성염색체 유전 시신경병증 (sex-linked optic neuropathy)'''{{신경안과}} == 역학 == 매우 드물다. X염색체 1개에 이상이 있다면 남자는 시신경병증...)
- 2022년 3월 23일 (수) 13: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우성 시신경 위축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우성 시신경 위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23일 (수) 1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입체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입체시 (stereoacuity)''' 란 우안과 좌안에서 받아들인 물체 이미지 간의 시차를 통해 얻는 깊이 정보를 말한다. 양안의 동공 중심 사이 거...)
- 2022년 3월 23일 (수) 09:02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홍채 낭종 (iris cyst)''' 은 1830년 MacKenzie<ref>MacKenzie W. A practical treatise on the diseases of the eye. London: Forgotten Books, 1855;672-4.</ref>가 전방에서 외...)
- 2022년 3월 23일 (수) 08:41 Smile 토론 기여님이 SPEE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EED (Standardize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각막}} == 내용 == 증상의 강도와 빈도에 대한 1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다. {{참고}})
- 2022년 3월 23일 (수) 08:40 Smile 토론 기여님이 OSD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각막}} 는 건성안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설문이며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빈도에 관한 12개의 문항으로...)
- 2022년 3월 23일 (수) 08:32 Smile 토론 기여님이 SAN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ANDE (Symptom Assessment Questionnaire In Dry Eye) 설문은 환자가 느끼는 안구건조증 증상의 강도와 빈도에 대해 묻는 단 2개의 질문 구성으로 다른...)
- 2022년 3월 22일 (화) 12: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광 반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광 반사 (light reflex)'''{{신경안과}} 는 동공에 빛을 비추면 동공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 분류 == * 직접 반응 : 빛을 한쪽 눈에 직...)
- 2022년 3월 21일 (월)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소관 열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소관 열상 (canalicular laceration)'''{{성형안과}} == 수술 방법 == === 눈물소관 안쪽 끝의 위치 확인 === === 실리콘관의 삽입 === === 눈물소관...)
- 2022년 3월 21일 (월) 04:4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둘레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둘레근 (orbicularis oculi muscle)'''{{성형안과}} 은 얼굴신경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눈을 감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안와를 덮어주는 표...)
- 2022년 3월 21일 (월) 04:0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썹 (eyebrow)'''{{성형안과}} == 기능 == 이마근과 눈둘레근이 서로 만나는 부위이며 눈꺼풀을 지탱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마근이 수축...)
- 2022년 3월 21일 (월) 04: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eyeball)'''{{성형안과}} == 위치 == 안와의 앞쪽에 위치하며 안와 중심보다 약간 상외측에 놓인다. 안구의 앞면은 가쪽 안와 가장자...)
- 2022년 3월 21일 (월) 00: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첨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첨 증후군 (orbital apex syndrome)'''{{성형안과}} 은 안와첨에 종양이나 염증이 발생하여 여러 신경과 혈관에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 2022년 3월 21일 (월)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첨 (orbital apex)'''{{성형안과}} 에는 시신경 구멍 (optic canal), 위안와 틈새 (sup. orbital fissure), 아래안와 틈새 (inf. orbital fissure) 의 3가지...)
- 2022년 3월 19일 (토) 09:33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내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각막 내피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19일 (토) 00: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리콘관 삽입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코눈물관 폐쇄 환자에서 시행하는 '''실리콘관 삽입술''' (silicone tube intubation, STI) 은 1968년 Keith4가 처음 보고하였다. == 적응증 == * 성인...)
- 2022년 3월 18일 (금) 2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뇌신경 (cranial nerves)''' == 분류 == * 1번 : * 2번 * 3번 * 4번 * 5번 * 6번 * 7번 : 얼굴신경 * 8번 * 9번 * 10번 * 11번 * 12번 :)
- 2022년 3월 18일 (금) 2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얼굴 신경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얼굴신경".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3월 18일 (금) 2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얼굴 신경 문서를 얼굴신경 문서로 이동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