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9일 (목) 03:02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하 바닥 세포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막하 바닥 세포암 (subconjunctival basal cell carcinoma)</b> == 원인 == 피부 병변에서부터 국소적으로 전이된 경우가 많다. == 임상 소견 == 병변...)
- 2020년 3월 19일 (목) 02: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잠복 안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잠복 안구 (cryptophthalmos)</b>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으로 보고된 증례가 150예 미만이다. == 관련 질환 == 단독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증...)
- 2020년 3월 19일 (목) 02:15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대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거대 각막 (megalocornea)</b> 은 양측 각막이 큰 경우를 뜻하며 진행하지 않는다. 조직학적으로는 정상이나, 각막 직경이 13.0~16.5mm로 측정된...)
- 2020년 3월 19일 (목) 02: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소각막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소각막증 (microcornea)</b> 은 정상 두께인 투명 각막의 크기가 10mm(신생아에서는 9mm) 이하인 것을 말한다. == 유전 == 상염색체 우성이나 열...)
- 2020년 3월 19일 (목) 02:14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원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 각막은 수평 방향으로 타원형이지만, 특별히 <b>타원 각막 (oval cornea)</b> 이라고 부를 때는 공막이 위아래 각막을 많이 침범한 경우를...)
- 2020년 3월 19일 (목) 0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편평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편평 각막 (cornea plana) 은 "각막의 곡률 반경이 30~35D 정도로 편평한 상태를 말하며, 인접한 공막의 곡률이 같은 것이 특징이다. 공막화 각막...)
- 2020년 3월 19일 (목) 0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앞포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앞포도종 (congenital anterior staphyloma) 은 각막 뒷면에 포도막 조직이 있고 불투명한 각막이 눈꺼풀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를...)
- 2020년 3월 19일 (목) 0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쉬르머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쉬르머 검사 (Schirmer test) 는 눈물 생성을 측정하는 데 가장 흔히 사용된다. == 분류 == * 쉬르머 I 검사 : 점안 마취를 하지 않고 반사 눈물을...)
- 2020년 3월 19일 (목) 02: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사민 그린 B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사민그린 B (lisamine green B) == 장점 == 로즈 벵갈과 염색의 특징 면에서 유사하나, <span style='color:blue;'>점안 후 자극 증상이 적다</span>.)
- 2020년 3월 19일 (목) 02: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로즈 벵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로즈 벵갈 (rose bengal) " == 장점 == 형광 물질(플루레신)에 비해 잘 보이지 않지만, <span style='color:blue;'>결막에서는 오히려 더 잘 염색</span>...)
- 2020년 3월 19일 (목) 02:08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이완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이완증 (conjunctivochalasis) 은 "이완되고 부종이 없는 여분의 안구 결막이 안구와 아랫눈꺼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1908년 Elsc...)
- 2020년 3월 19일 (목) 02:05 Smile 토론 기여님이 독성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독성 결막염 (toxic conjunctivitis) 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1864년 Von Graefe가 국소적 atropine에 의한 각결막염을 처음 기술함으로써 구체...)
- 2020년 3월 19일 (목) 02:0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시 아메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시 아메바 (acanthoamoeba) 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자유 생활 원생동물 중에 하나이며, 인간 주변의 자연 환경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
- 2020년 3월 19일 (목) 02:03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동 편모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동 편모충증 (trypanosomiasis) " == 원인 == 원생 동물인 파동 편모충(<i>Trypanosoma</i>)에 의해 발생한다. == 병태 생리 == 체체 파리에 의해 <i>Trypa...)
- 2020년 3월 19일 (목) 02:03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슈마니아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슈마니아증 (leishmaniasis) == 역학 ==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그리고 지중해 연안에서 발생한다. == 원인 == 사막에서 활동하는 사막...)
- 2020년 3월 19일 (목) 02:02 Smile 토론 기여님이 회선 사상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회선 사상충증 (onchocerciasis) 은 일명 river blindness라고 불리며, 제 3세계 국가, 특히 사하라 사막 남쪽 아프리카의 국가들에서 실명을 일으키...)
- 2020년 3월 19일 (목) 02:01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나병 (leprosy) 은 한센병(Hansen's disease)이라고도 부른다. == 원인 == 나병균(<i>Mycobacterium leprae</i>)은 세포 내에서만 살 수 있는 세균이며, 특징...)
- 2020년 3월 19일 (목) 02: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 조직구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 조직구종 (fibrous histiocytoma) 은 건막, 근육, 연조직에서 발생하며 양성 혹은 악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역학 == 성인의 중간엽에서 발...)
- 2020년 3월 19일 (목) 01: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방육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방육종 (liposarcoma) == 역학 == 성인에서 아주 흔한 연조직 육종이지만, 안와에서는 아주 드물다. == 병태 생리 == 지방 조직에서보다는 미분...)
- 2020년 3월 19일 (목) 01:59 Smile 토론 기여님이 평활근육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평활근육종 (leiomyosarcoma) == 역학 == 다소 드문 질환으로 50대에 호발하며, 과거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젊은 나이에도 생길 수 있다. ==...)
- 2020년 3월 19일 (목) 01: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평활근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평활근종 (leiomyoma) 은 30대와 40대에서 서서히 진행하는 드문 종양으로 잘 형성된 피막이 있다. == 조직병리 == palisading cell bundle이 관찰된다....)
- 2020년 3월 19일 (목) 01:57 Smile 토론 기여님이 횡문근육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횡문근육종 (rhabdomyosarcoma) == 역학 == 소아 악성 종양의 5%를 치지하며 이 중 7~10%가 안와에서 빌생하여 <span style='color:blue;'>소아에서 발생하...)
- 2020년 3월 19일 (목) 01:53 Smile 토론 기여님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CH) 는 "골수에서 유래하여 활성화된 랑게르한스 세포가 증식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 2020년 3월 19일 (목) 01:52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스너 판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코눈물관은 아래코선반(inferior turbinate) 밑에서 구멍이 열리게 되며 이 부분에 하스너 판막 (Hasner valve) 이 위치한다. 출생 시 10~70%에서...)
- 2020년 3월 19일 (목) 01: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눈물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코눈물관 (nasolacrimal duct; NLD) 은 뼈로 둘러싸인 부위의 길이는 12.5mm 정도이고, 약 2~5mm 정도는 아래콧길 부위에 위치한다. 눈물 기관의 검사...)
- 2020년 3월 19일 (목) 01: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 주머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 주머니 (lacrimal sac) 는 안와 안쪽의 눈물주머니 오목에 위치하며 단단한 골막과 눈물근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눈물주머니 오목은 <...)
- 2020년 3월 19일 (목) 01:50 Smile 토론 기여님이 로젠뮐러 판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로젠뮐러 판막 (Rosenmuller valve) 은 공통 눈물 소관의 안쪽 끝에있어 <span style='color:blue;'>눈물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며</span> 이 기능이 약...)
- 2020년 3월 19일 (목) 01:4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 소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 소관 (lacrimal canaliculus) 은 눈물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2mm만큼 향하다가 눈물소관 팽대부위(ampulla)에서 직각으로 꺾여 눈꺼풀테를...)
- 2020년 3월 19일 (목) 01: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위, 아래 눈물점 (lacrimal punctum) 은 직경이 0.3mm이며 안쪽 눈구석으로부터 5~7mm 가쪽에 위치하고 대개 아래눈물점이 위눈물점보다 1~2mm 가쪽...)
- 2020년 3월 19일 (목) 01: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덧눈물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덧눈물샘 (accessory lacrimal gland) 은 부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눈물샘과 다르다. 기본 눈물 분비를 담당하는 것으로...)
- 2020년 3월 19일 (목) 01: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휴즈 수술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휴즈 수술법 (Hughes procedure) 은 윗눈꺼풀에서 만든 눈꺼풀판-결막 피판 (tarso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내려서 아랫눈꺼풀 결손부의 뒤층판을...)
- 2020년 3월 19일 (목) 01: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랫 눈꺼풀의 직접 봉합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19일 (목) 01: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직접 봉합 (아랫눈꺼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랫 눈꺼풀의 직접 봉합 (direct closure) 은 눈꺼풀 재건술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술법으로, 결손 부위 가장자리를 직접 봉합하는 방법이...)
- 2020년 3월 19일 (목) 01:22 Smile 토론 기여님이 텐젤 반원형 회전 피판 (아랫눈꺼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텐젤 반원형 회전 피판 (Tenzel semicircular rotational flap) 은 가쪽 눈구석 절개술 및 눈구석 인대 절개술을 시행해도 직접 봉합 (아랫눈꺼풀)|...)
- 2020년 3월 19일 (목)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랫 눈꺼풀의 직접 봉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랫 눈꺼풀의 직접 봉합 (direct closure of lower eyelid) 은 눈꺼풀 재건술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술법으로, 결손 부위 가장자리를 직접 봉합...)
- 2020년 3월 19일 (목) 01: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절제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제 생검 (excisional biopsy) == 적응증 == 흔히 눈꺼풀의 악성 종양을 제거할 때 시행한다. == 과정 또는 용법 == 육안으로부터 구분되는 병변의...)
- 2020년 3월 19일 (목) 01:10 Smile 토론 기여님이 펀치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펀치 생검 (punch biopsy) 은 일회용 피부 절제기 (dermatome) 을 이용해서 조직을 얻는 방법이다. == 적응증 == 흑색종과 같은 색소성 병변에서 유...)
- 2020년 3월 19일 (목) 01: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층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개 생검의 일종이다. == 적응증 == 흔히 눈꺼풀테에 생기는 양성 종양에 시행한다.)
- 2020년 3월 19일 (목) 01: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절개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개 생검 (incisional biopsy) 은 병변의 일부를 절제하는 생검으로 뚜렷한 병소 부위에서 조직을 채취한다. 특히 궤양이 있는 부위는 조직 괴...)
- 2020년 3월 19일 (목) 01: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직 생검 (biopsy) 종양이 크지 않을 때는 절제 생검을 시행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절개 생검을 시행한다. 대부분의 경우 포르말린에 고정...)
- 2020년 3월 19일 (목) 01: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절제 레이저 재생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제 레이저 재생술 (ablative laser resurfacing))
- 2020년 3월 19일 (목)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히알루론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 은 정상적으로 신체 내에 존재하는 다당류로서 진피층 세포 외 기질 형태로 구조적 지지를 담당하며 친수성...)
- 2020년 3월 19일 (목) 00: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필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필러 (filler) 는 피부나 피하 지방층에 부피가 감소되었거나 부피를 증가할 필요가 있는 부위에 주입하여 채우는 물질로서, 얼굴주변의 부...)
- 2020년 3월 19일 (목)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마근 피판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마근 피판술 (frontalis flap surgery) 은 이마근의 피판을 만들어 위눈꺼풀판에 고정하는 수술이다. == 장점 == 이마근 걸기술과는 달리 걸...)
- 2020년 3월 19일 (목)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사넬라-서뱃 술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사넬라-서뱃 술기 (Fasanella-Servat procedure) 는 눈꺼풀판의 일부와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 단점 == 정상 구조...)
- 2020년 3월 19일 (목)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뮐러근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뮐러근 절제술 (conjunctivomullerectomy) " == 장점 == * Fasanella-Servat procedure에 비해 수술 결과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 눈꺼풀 형태에...)
- 2020년 3월 19일 (목)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마근 걸기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마근 걸기술 (frontalis sling) 은 이마근을 이용하여 눈꺼풀의 위치를 올리는 수술 방법으로 한쪽에만 시행한 경우 아래를 쳐다볼 때 미용...)
- 2020년 3월 19일 (목)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올림근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올림근 절제술 (levator resection) 은 과거에 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보통인 선천 눈꺼풀 처짐 교정에 많이 쓰던 방법으로 널힘줄의 양...)
- 2020년 3월 19일 (목)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절제술 (levator aponeurosis resection) 은 <span style='color:blue;'>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보통일 때</span> 주로 시행하는 수술 방...)
- 2020년 3월 19일 (목)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교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교정술 (levator aponeurosis repair) 은 눈꺼풀 올림근의 기능이 좋은 성인들의 퇴행 눈꺼풀 처짐을 교정하는 데 많이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