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신경 흥분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교감신경 흥분제 (adrenergic agonist)'''{{녹내장}}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 α1 수용체 : 자극하면 산동, 혈관 수축, 안압 상승, 눈꺼풀 조임이 나타난다. | * α1 수용체 : 자극하면 산동, 혈관 수축, 안압 상승, 눈꺼풀 조임이 나타난다. |
2023년 9월 16일 (토) 00:43 기준 최신판
교감신경 흥분제 (adrenergic agonist)[1]
병태 생리
- α1 수용체 : 자극하면 산동, 혈관 수축, 안압 상승, 눈꺼풀 조임이 나타난다.
- α2 수용체 : 자극하면 방수 생성 억제 및 방수 유출 증가가 나타난다.
분류
α2 교감 작동제
방수 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하강시키며 혈액-방수 장벽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부작용
안구 내 부작용
- 알레르기 반응 : 아프라클로니딘의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여포성 결막염을 유발하는 것이며, 접촉성 피부염을 동반하기도 한다. 1% 아프라클로니딘을 장기간 점안하였을 때 48% 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부작용은 브리모니딘을 사용했을 때도 혁시 흔히 나타난다.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눈꺼풀 조임, 산동, 결막 창백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뮐러근, 홍채 조임근, 동맥 평활근의 α1 수용체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디피베프린은 위의 부작용 외에도 혈관 수축이 되었다가 반응성 혈관 확장을 일으킨다. 에피네프린은 아데노크롬 (adenochrome) 으로 변환되어 색소 침착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무수정체안에서 낭포 황반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