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베탁솔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종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베탁솔롤 (betaxolol)'''{{녹내장}} 은 다른 β 차단제와는 달리 심장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β<sub>1</sub> 길항제이다. 비록 β<sub>1</sub> 수용체에 좀 더 선택적으로 작용하지만 β<sub>2</sub> 수용체도 일부 차단한다.  
'''베탁솔롤 (betaxolol)'''{{녹내장}} 은 다른 β 차단제와는 달리 심장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β<sub>1</sub> 길항제이다. 비록 β<sub>1</sub> 수용체에 좀 더 선택적으로 작용하지만 β<sub>2</sub> 수용체도 일부 차단한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섬모체 돌기에 존제하는 수용체는 β<sub>2</sub> 수용체인데도 불구하고 β<sub>1</sub>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는 베탁솔롤이 안압 하강을 유발하는 기전은 농도가 섬모체의 β<sub>2</sub> 수용체를 차단할 만큼 충분하게 높을 가능성이 있고, 섬모체 돌기에 β<sub>1</sub> 수용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교감신경 외에 다른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 안압 하강의 기전은 [[티몰롤]]과 같이 방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방수 유출이나 동공 크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섬모체 돌기에 존제하는 수용체는 β<sub>2</sub> 수용체인데도 불구하고 β<sub>1</sub>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는 베탁솔롤이 안압 하강을 유발하는 기전은 농도가 섬모체의 β<sub>2</sub> 수용체를 차단할 만큼 충분하게 높을 가능성이 있고, 섬모체 돌기에 β<sub>1</sub> 수용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교감신경 외에 다른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 안압 하강의 기전은 [[티몰롤]]과 같이 방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방수 유출이나 동공 크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ref>Reiss GR et al. The mechanism of betaxolol, a new OHTN agent. ''Ophthalmology''. 1983 Nov;90(11):1369-72. [https://pubmed.ncbi.nlm.nih.gov/6664677/ 연결]</ref>.


== 분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베탁솔롤의 병 제제
|+표. 베탁솔롤의 종류
|-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코드||약가
|-
|-
|베톱틱 S 점안액||betaxolol HCl 2.8 mg/ml||5ml||한국 노바티스||7,599원/5ml
|베톱틱 S 점안액||betaxolol HCl 2.8 mg/ml
|rowspan=2|5ml
|rowspan=2|한국 노바티스
|653603221||7,598원/5ml
|-
|-
|베톱틱 점안액||betaxolol HCl 5.6 mg/ml||5ml||한국 노바티스||7,683원/5ml
|베톱틱 점안액||betaxolol HCl 5.6 mg/ml||653603211||7,682원/5ml
|}
|}
== 효과 ==
== 효과 ==
안압하강효과는 dorzolamide와 유사하며 brimonidine에 비해서는 떨어진다. timolol에 비해서 안압 하강 효과는 떨어지지만 망막 혈관의 평활근을 이완시키며 정적 자동시야 검사에서 망막 민감도에는 더 좋은 영향을 나타내므로 시신경 혈류를 개선하여 신경보호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  
안압 하강 효과는 [[도르졸라미드]]와 유사하며 [[브리모니딘]]에 비해서는 떨어진다. [[티몰롤]]에 비해서 안압 하강 효과는 떨어지지만 망막 혈관의 평활근을 이완시키며 정적 자동시야 검사에서 망막 민감도에는 더 좋은 영향을 나타내므로<ref>Collignon-Brach J. Long-term effect of ophthalmic β-adrenoceptor antagonists on IOP and retinal sensitivity in POAG. ''Curr Eye Res''. 1992 Jan;11(1):1-3. [https://pubmed.ncbi.nlm.nih.gov/1559386/ 연결]</ref> 시신경 혈류를 개선하여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
== 부작용 및 합병증 ==
 
속성내성(tachyphylaxis)이 나타날 수 있으며, β<sub>2</sub> 교감제에 의한 기관지 수축을 적게 일으키므로 기도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timolol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장점 ==
β<sub>2</sub> 교감제에 의한 기관지 수축을 적게 일으키므로 기도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티몰롤]]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단점 ==
빠른 내성 (tachyphylaxis) 이 나타날 수 있다.
{{참고}}
{{참고}}
{{녹내장_안약}}
{{녹내장_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