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9일 (목) 01:22 Smile 토론 기여님이 텐젤 반원형 회전 피판 (아랫눈꺼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텐젤 반원형 회전 피판 (Tenzel semicircular rotational flap) 은 가쪽 눈구석 절개술 및 눈구석 인대 절개술을 시행해도 직접 봉합 (아랫눈꺼풀)|...)
- 2020년 3월 19일 (목)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랫 눈꺼풀의 직접 봉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랫 눈꺼풀의 직접 봉합 (direct closure of lower eyelid) 은 눈꺼풀 재건술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술법으로, 결손 부위 가장자리를 직접 봉합...)
- 2020년 3월 19일 (목) 01: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절제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제 생검 (excisional biopsy) == 적응증 == 흔히 눈꺼풀의 악성 종양을 제거할 때 시행한다. == 과정 또는 용법 == 육안으로부터 구분되는 병변의...)
- 2020년 3월 19일 (목) 01:10 Smile 토론 기여님이 펀치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펀치 생검 (punch biopsy) 은 일회용 피부 절제기 (dermatome) 을 이용해서 조직을 얻는 방법이다. == 적응증 == 흑색종과 같은 색소성 병변에서 유...)
- 2020년 3월 19일 (목) 01: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층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개 생검의 일종이다. == 적응증 == 흔히 눈꺼풀테에 생기는 양성 종양에 시행한다.)
- 2020년 3월 19일 (목) 01: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절개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개 생검 (incisional biopsy) 은 병변의 일부를 절제하는 생검으로 뚜렷한 병소 부위에서 조직을 채취한다. 특히 궤양이 있는 부위는 조직 괴...)
- 2020년 3월 19일 (목) 01: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생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직 생검 (biopsy) 종양이 크지 않을 때는 절제 생검을 시행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절개 생검을 시행한다. 대부분의 경우 포르말린에 고정...)
- 2020년 3월 19일 (목) 01: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절제 레이저 재생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절제 레이저 재생술 (ablative laser resurfacing))
- 2020년 3월 19일 (목)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히알루론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 은 정상적으로 신체 내에 존재하는 다당류로서 진피층 세포 외 기질 형태로 구조적 지지를 담당하며 친수성...)
- 2020년 3월 19일 (목) 00: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필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필러 (filler) 는 피부나 피하 지방층에 부피가 감소되었거나 부피를 증가할 필요가 있는 부위에 주입하여 채우는 물질로서, 얼굴주변의 부...)
- 2020년 3월 19일 (목)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마근 피판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마근 피판술 (frontalis flap surgery) 은 이마근의 피판을 만들어 위눈꺼풀판에 고정하는 수술이다. == 장점 == 이마근 걸기술과는 달리 걸...)
- 2020년 3월 19일 (목)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사넬라-서뱃 술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사넬라-서뱃 술기 (Fasanella-Servat procedure) 는 눈꺼풀판의 일부와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 단점 == 정상 구조...)
- 2020년 3월 19일 (목)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뮐러근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뮐러근 절제술 (conjunctivomullerectomy) " == 장점 == * Fasanella-Servat procedure에 비해 수술 결과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 눈꺼풀 형태에...)
- 2020년 3월 19일 (목)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마근 걸기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마근 걸기술 (frontalis sling) 은 이마근을 이용하여 눈꺼풀의 위치를 올리는 수술 방법으로 한쪽에만 시행한 경우 아래를 쳐다볼 때 미용...)
- 2020년 3월 19일 (목)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올림근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올림근 절제술 (levator resection) 은 과거에 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보통인 선천 눈꺼풀 처짐 교정에 많이 쓰던 방법으로 널힘줄의 양...)
- 2020년 3월 19일 (목)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절제술 (levator aponeurosis resection) 은 <span style='color:blue;'>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보통일 때</span> 주로 시행하는 수술 방...)
- 2020년 3월 19일 (목)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교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교정술 (levator aponeurosis repair) 은 눈꺼풀 올림근의 기능이 좋은 성인들의 퇴행 눈꺼풀 처짐을 교정하는 데 많이 시행...)
- 2020년 3월 19일 (목)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쪽 눈구석 인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쪽 눈구석 인대 (lateral canthal tendon; LCT) 는 주변에 눈물 주머니와 같은 구조물이 없어 덜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눈꺼풀판의 가쪽 끝에 연...)
- 2020년 3월 19일 (목)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쪽 눈구석 인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쪽 눈구석 인대 (medial canthal ligament) 는 눈물주머니를 감싸고 앞, 뒤 눈물주머니 오목 능선에 부착하며 더 앞으로는 위턱뼈의 이마 돌기...)
- 2020년 3월 19일 (목)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사이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사이막 (orbital septum) 은 안와와 눈꺼풀 사이의 해부학적 경계를 만들어주는 섬유막으로 눈둘레근과 안와 지방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
- 2020년 3월 19일 (목)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살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살근 (procerus muscle) 은 이마뼈의 중앙부 아래 끄에서 기시하여 위쪽으로 주행하여 이마근과 연결되고, 수축하면 눈썹을 아래로 잡아당겨...)
- 2020년 3월 19일 (목)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썹 주름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썹 주름근 (corrugator muscle) 은 이마뼈의 코돌기에서 기시하여 눈썹 부위의 피부와 근육에 부착되며, 수축하면 <span style='color:blue;'>미간에...)
- 2020년 3월 19일 (목)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뮐러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뮐러근 (Muller's muscle) 은 "눈꺼풀판으로부터 위로 15mm 떨어진 곳의 위눈꺼풀 올림근 밑에서 기시하여 올림근과 결막 사이를 지나 위눈꺼...)
- 2020년 3월 19일 (목)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주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주 절개술 (trabeculotomy) 은 안구 외부에서 섬유주 절개도를 쉴렘관 내로 삽입하여 전방내로 회전시키면 쉴렘관 내벽과 섬유주가 절개...)
- 2020년 3월 19일 (목)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각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각 절개술 (goniotomy) 은 "전방각을 관찰할 수 있는 전방각경이 입상적으로 이용되면서 Barkan에 의해 1938년에 처음 시도되었다. == 병태...)
- 2020년 3월 19일 (목) 00: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천공 여과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천공 여과 수술 (nonpenetrating filtering surgery) == 병태 생리 == * 외부 절개 섬유주 절제술 * 심부 공막 절제술 (deep sclerectomy)과 인공 삽입물의...)
- 2020년 3월 19일 (목) 00: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메드 밸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메드 밸브 (Ahmed valve) 는 "전체 길이가 16mm, 최대 폭은 13mm, 0.9mm 두께의 실리콘 몸체와 실리콘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밸브 역할을 하는 두...)
- 2020년 3월 18일 (수) 1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수 유출 장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방수 유출 장치 (glaucoma drainage implant) 는 관을 이용하여 전방으로부터 테논낭 아래까지 방수 유출로(shunt)를 만들어줌으로써 방수를 안구...)
- 2020년 3월 18일 (수) 13: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파괴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파괴술 (cyclodestruction) 은 1950년 Bietti가 정상 토끼와 녹내장 환자에 시술한 이래 시력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난치의 녹내장을 치료...)
- 2020년 3월 18일 (수) 13: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냉동 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냉동 치료 (cyclocryotherapy) 는 "냉동 막대로 세포내 얼음결정 형성과 허혈성 괴사를 야기함으로써 섬모체 돌기 상피를 파괴하여 방수...)
- 2020년 3월 18일 (수) 13: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봉합사 용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봉합사 용해 (suturelysis) 는 섬유주 절제술 후 초기에 과도한 방수 유출을 방지할 목적으로 공막편을 단단히 봉합한 다음 수술 후에 다시...)
- 2020년 3월 18일 (수) 13: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주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주 절제술 (trabeculectomy) == 병태 생리 == 초기에는 방수가 쉴렘관의 잘려진 양쪽 끝으로 직접 통하게 되어 안압이 내려가는 것으로 이해...)
- 2020년 3월 18일 (수) 1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시력 소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시력 소실 (snuff out syndrome) 여과 수술 후 중심 시야만 조금 남아있던 환자의 시야가 소실된다는 보고가 있다. == 역학 == 발생율은 극...)
- 2020년 3월 18일 (수)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감압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감압 망막병증 (ocular decompression retinopathy) 은 섬유주 절제술 직후 망막내 출혈이 발생한 경우를 지칭한다. == 병태 생리 == 술 전 안압이...)
- 2020년 3월 18일 (수)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여과포 누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여과포 누출 (bleb leak) 은 여과포가 매우 앓은 벽으로 되어 있으면 자연적인 누출이 일어날 수가 있다. == 비수술적 치료 == 누출되는 여과포...)
- 2020년 3월 18일 (수) 13: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여과포 감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여과포 감염 (bleb infection) == 위험 인자 == * <span style='color:blue;'>얇은 벽의 여과포를 가진 저안압안</span> == 증상 == 초기 증상은 미미한 <span s...)
- 2020년 3월 18일 (수) 1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테논낭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테논낭포 (Tenon's cyst) 는 encysted bleb, encapsulated bleb라고도 부르며 섬유아세포의 과형성으로 전방과 직접 연결된 단단한 돔 형태의 얇은 벽으...)
- 2020년 3월 18일 (수) 13: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단추 구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단추 구멍 (conjunctival buttonhole) 은 섬유주 절제술 중 발생된 결막의 구멍 또는 단추구멍을 적절히 처치 못하는 경우 <span style='color:b...)
- 2020년 3월 18일 (수) 13: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연 맥락막 상강 출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연 맥락막 상강 출혈 (delayed suprachoroidal hemorrhage) 은 섬유주 절제술의 심각한 합병증이다. == 역학 == 흔하지는 않으나 약 2%의 발생률을...)
- 2020년 3월 18일 (수) 1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내 접근 레이저 공막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내 접근 레이저 공막 절개술 (ab interno laser sclerostomy) 은 레이저 프로브와 그 밖의 기구를 안구 내에 삽입하여 안구 내측에서 공막절개를...)
- 2020년 3월 18일 (수) 13: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외 접근 레이저 공막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외 접근 레이저 공막 절개술 (ab externo laser sclerostomy) == 장점 == 전방내 기구 조작 없이 효과적으로 공막을 절개 할 수 있다. == 단점 == 에...)
- 2020년 3월 18일 (수) 13: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저 공막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저 공막 절개술 (laser sclerostomy) 1970년에 Beckman 등에 의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여과 수술이 개발된 후 Jaffe, March 등에 의해 활발히 연구...)
- 2020년 3월 18일 (수) 1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저 섬유주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저 섬유주 절개술 (laser trabeculotomy) 1986년 사체 안구와 적출 안구에서 40~50nsec의 노출 시간, 30mJ의 출력으로 Nd:YAG 레이저 섬유주절개술...)
- 2020년 3월 18일 (수) 1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린졸라미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린졸라미드 (brinzolamide) 는 1998년에 상용화된 점안 탄산탈수효소 억제제이다. == 분류 == * 아좁트 (Azopt) 점안액 (한국 알콘) == 효과 == Sil...)
- 2020년 3월 18일 (수) 1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도르졸라미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경구용 CAI의 전신 부작용을 줄일 목적으로 여러가지 국소 점안용 제제들이 연구되었는데, 도르졸라미드 (dorzolamide) 는 그 중에서 1995년에...)
- 2020년 3월 18일 (수) 1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메타졸라미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종류 == * 메조민 (Mezomine) 정 (BC월드제약) == 효과 == methazolamide 50mg 경구 용량이 acetazolamide 250mg 경구 용량보다 약간 더...)
- 2020년 3월 18일 (수) 1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세타졸라미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세타졸라미드 (acetazolamide) 는 메타졸라미드에 비해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는 비율이 높아(95%) 치료 효과 나타내기 위해 더 많은 용량...)
- 2020년 3월 18일 (수) 1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리모니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리모니딘 (brimonidine) 은 apra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선택성 α2 작동제이며 apraclonidine보다 23~32배, clonidine보다 7~12배의 선택성을...)
- 2020년 3월 18일 (수) 1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디피베프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디피베프린 (dipivefrin) 은 에피네프린의 전구 약제로, 에피네프린에 피발릭산을 추가하여 지질 친화성을 강화시킨 것으로 각막투과성이...)
- 2020년 3월 18일 (수) 1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에피네프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피네프린 (epinepherine) == 병태 생리 == # 초기 단계 : 점안 수분 내에 알파 작동제의 혈관 수축 작용으로 혈청 에서 섬모체돌기 기질로의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