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8일 (수) 04: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소교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교세포 (microglia) 중추신경계에서는 중배엽에서 발생하나 망막 내 소교세포의 발생원은 앚기 불확실하다. 세포질의 양은 매우 적지만...)
- 2020년 3월 18일 (수) 04:56 Smile 토론 기여님이 교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교세포 (glial cell) == 분류 == * 뮬러 세포 (Muller cell) * 성상 세포 (astrocyte) * 소교세포 (microglia) * 희돌기 교세포 (oligodendrocyte) : 선천...)
- 2020년 3월 18일 (수) 04: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상간 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상간 세포 (interplexiform cell) 는 "척추 동물의 망막에서 비교적 나중에 발견된 세포로 세포체는 내과립층에 있으나 돌기가 내외망상층...)
- 2020년 3월 18일 (수) 04: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축삭 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축삭 세포 (amacrine cell) 는 과거 염색의 오류로 축삭이 없는 세포로 인식되었으나 현재는 축삭을 가진 세포도 많이 발견되었다. 세포체는...)
- 2020년 3월 18일 (수) 04: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평 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평 세포 (horizontal cell) 는 내과립층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세포로 핵 주변의 세포질에는 mitochondria, 골지체, 내형질 세망 등이 풍부...)
- 2020년 3월 18일 (수) 04: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채찍질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채찍질 망막병증 (whiplash retinopathy) 은 "직접적인 눈외상 없이 머리와 목에 외상성 굴곡-신전의 병력을 갖는다. 따라서 심하지는 않지만 ...)
- 2020년 3월 18일 (수) 04:53 Smile 토론 기여님이 흔들린 아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흔들린 아이 증후군 (shaken baby syndrome) 는 심하게 흔들거나, 직접적인 눈 혹은 머리 외상, 흉부 외상 및 질식과 같은 학대를 받은 유아에서...)
- 2020년 3월 18일 (수) 04: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발살바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발살바 망막병증 (valsalva retinopathy) Duane은 1972년 <span style='color:blue;'>무거운 것을 들 때나, 기침, 구토, 혹은 힘을 주어 변을 보는 경우 등에...)
- 2020년 3월 18일 (수) 04:52 Smile 토론 기여님이 터슨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터슨 증후군 (Terson's syndrome) 은 <span style='color:blue;'>지주막하 혹은 경막하 출혈이 망막 및 유리체 출혈을 동반한 경우</span>에 사용되는 용...)
- 2020년 3월 18일 (수) 04: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리콘 기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리콘 기름 (silicone oil; SO) == 특성 == * 굴절률 : 1.414인 투명한 물질로서 굴절은 수정체에 가까워 무수정체안에서는 방울의 앞쪽으로 볼록...)
- 2020년 3월 18일 (수) 04:5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하액 배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하액 배출 (subretinal fluid drainage; SRFD) == 적응증 == * 망막하액이 너무 많이 위치 결정이 어려울 경우 * 안압 때문에 공막 돌륭을 충분히...)
- 2020년 3월 18일 (수) 04: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팀롤러 술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팀롤러 술기 (steamroller techinique) 는 수포 망막 박리의 망막하액이 황반부 가까이에 있을 때 주입한 가스가 박리 부위를 누르면 망막하...)
- 2020년 3월 18일 (수) 04:46 Smile 토론 기여님이 기체 망막 유착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체 망막 유착술 (pneumatic retinopexy) 은 "1985년 소개된 이후 기체 망막유착술은 상부 망막 박리에 있어 공막 돌륭술을 대신하는 효과적인 방...)
- 2020년 3월 18일 (수) 04: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리체강내 주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리체강내 주사 (intravitreal injection) == 시술 과정 == * 산동 : 특별한 금기 사항이 있지 않는 이상 합병증 등의 적절한 관찰을 위해 산동을...)
- 2020년 3월 18일 (수) 04:43 Smile 토론 기여님이 테논낭하 주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테논낭하 주사 (subtenon injection) == 효과 == 심각한 안내 독성이 없으면서 안내 염증 반응을 억제시키며 혈액-망막 장벽을 안정화시킬 뿐만...)
- 2020년 3월 18일 (수) 04: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정상 안저형 선천 비진행성 야맹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 안저형 선천 비진행성 야맹증 (congenial stationary night blindness with normal fundus; CSNB with normal fundus) 은 선천 비진행성 야맹증 중 가장 흔...)
- 2020년 3월 18일 (수) 04: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 (vitelliform macular dystrophy) 은 "베스트병(Best disease)라고도 부른다. == 역학 == <span style='color:blue;'>대개 양측성</span>으...)
- 2020년 3월 18일 (수) 0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비 모양 망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나비 모양 망막 이상증 (butterfly-shaped pigment dytrophy; pattern dystrophy) 1970년도에 4명의 형제와 그들의 자녀 중 한 명을 검사하여, 황반 부위에...)
- 2020년 3월 18일 (수) 0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성인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성인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 (adult-onset foveomacular vitelliform pattern dystrophy) 은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과 비슷한 표현형을 보이나, 그...)
- 2020년 3월 18일 (수) 0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격자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의 격자 이상증 (reticular dystrophy) 은 망막 상피 세포를 침범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처음 스웨덴의 한 가족의 다섯 명 자녀에서 발견...)
- 2020년 3월 17일 (화) 1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17일 (화) 1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우성 방사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염색체 우성 방사 드루젠 (autosomal dominant radial drusen) 은 유리체 쪽 브루크막에서 발견되는데, 망막 색소 상피에서 분비된다. == 역학 ==...)
- 2020년 3월 17일 (화) 14: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autosomal dominant radial drusen) 은 "유리체 쪽 브루크막에서 발견되는데, 망막 색소상피에서 분비된다. == 역학 == 보통 20~...)
- 2020년 3월 17일 (화) 14: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스 캐롤라이나 황반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스 캐롤라이나 황반 이상증 (North Carolina macular dystrophy) 1971년 Lefler 등은 아미노산뇨증을 동반한 망막 이상을 보고하였는데, 이는 노스...)
- 2020년 3월 17일 (화) 14: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우성 낭포 황반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우성 낭포 황반 이상증 (dominant cystoid macular dystrophy) == 유전 == 7번 염색체 단완의 유전자 이상으로 추측된다. == 병태 생리 == 망막 색소상피...)
- 2020년 3월 17일 (화) 14: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심성 고리 모양 황반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심성 고리 모양 황반 이상증 (concentric annular macular dystrophy) 은 기능적으로 비교적 양성의 원뿔-막대세포 이상증의 특성을 가지면서, 더...)
- 2020년 3월 17일 (화) 14: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란점 안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란점 안저 (fundus flavimaculatus) == 역학 == 위축성 황반 이상증을 동반하는 노란점 안저는 어린 나이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황반 이상증이...)
- 2020년 3월 17일 (화) 14: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타가르트양 우성 황반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994년 Stone 응은 스타가르트병과 비슷한 안저 소견을 가지면서 원인 유전자가 6번 염색체에 있는 질병을 가진 가계를 보고하였는데, 일반...)
- 2020년 3월 17일 (화) 14: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타가르트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타가르트병 (Stargardt disease) == 역학 == 호발 연령은 6~20세이다.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유전 양식을 보이는 스타가르트병에서 1번 염색체...)
- 2020년 3월 17일 (화) 14: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뿔 세포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뿔 세포 이상증 (cone dystrophy) 은 진행성 원뿔 세포 이상증과 전반적인 원뿔-막대세포 이상증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힘들다는 것이 밝혀...)
- 2020년 3월 17일 (화) 14: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 정맥옆 맥락망막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색소 정맥옆 맥락망막 위축 (pigmented paravenous retinochoroidal atrophy; PPRCA) 은 Brown이 1937년 retinochoroiditis radiata로 보고한 이래 paravenous retinal degene...)
- 2020년 3월 17일 (화) 14: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저안압 황반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안압 황반병증 (hypotony maculopathy) 은 1954년 Dellaporta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된 질환으로 대부분 5mmHg 이하에서 증상이 나타나지만 8~10 mmHg의...)
- 2020년 3월 17일 (화) 14: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수정체 낭포 황반 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공수정체 낭포 황반 부종 (pseudophakic cystoid macular edema; pseudophakic CME) == 역학 == 발생 빈도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백내장 수술 방법...)
- 2020년 3월 17일 (화) 14: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리체 중심와 견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리체 중심와 견인 증후군 (vitreofoveal traction syndrome; VFTS) 은 지속적인 유리체의 유착이 중심와에만 있을 때를 말하며 유리체 황반 견인...)
- 2020년 3월 17일 (화) 14: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황반 주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황반 주름 (macular pucker) 은 열공 망막 박리의 치료를 위한 망막 재유착술 후에 발생한 막을 말한다. == 역학 == 망막 박리의 수술 후 4~8%에...)
- 2020년 3월 17일 (화) 14:08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성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성 황반 원공 (pseudohole) == 병태 생리 == 중심와를 덮지 않는 주변부 망막앞막의 구심성 수축으로 발생한다. == 검사 및 진단 == * OCT : 망막...)
- 2020년 3월 17일 (화) 14: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석회질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석회질 변성 (calcareous degeneration) 은 칼슘화 변성의 이차적 형태이다. == 위험 인자 == 안구 위축, 괴사성 안내 신생물, 여러 차례의 안구 수...)
- 2020년 3월 17일 (화) 14: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우츠 각막 백색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코우츠 각막 백색환 (Coats' white ring) Coats는, 각막 하부에 위치하며 직경 1mm 이하인 불완전하고 흰 타원형 고리를 처음 서술했다. 보우만막...)
- 2020년 3월 17일 (화) 14: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윤부띠 (limbal girdle) == 역학 == 나이에 따라 증가하며, 20세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발병률은 40~60세에서 대략 55%, 80세 이상에서 100%이다....)
- 2020년 3월 17일 (화) 14: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잘쯔만 결절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잘쯔만 결절 변성 (Salzmann's nodular degeneration) 은 1925년 이상증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이후 각막염에서 발생하는 변성 과정으로 정의되었...)
- 2020년 3월 17일 (화) 14: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슈나이더 결정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슈나이더 결정 이상증 (Schnyder's crystalline dystrophy) == 유전 ==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1번 염색체(1p36)에 위치하는 UBIAD1 (UbiA prenyltransferas...)
- 2020년 3월 17일 (화) 14:01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점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점 각막 이상증 (macular corneal dystrophy; MCD) 은 Groenouw 각막 이상증 2형, Fehr spotted dystrophy로도 불리며, 세 가지의 각막 이상증 중 가장 드물...)
- 2020년 3월 17일 (화) 14: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 (Avellino corneal dystrophy; GCD2) 은 제 2형 과립 각막 이상증으로, 이탈리아 Avellino 지역 출신의 환자군에서 처음 발견되어...)
- 2020년 3월 17일 (화) 13: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제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제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1; GCD1) " == 역학 == 10세 이전에 발생한다. == 유전 ==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전환 성...)
- 2020년 3월 17일 (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전막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17일 (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앞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앞막 (망막전막) (epiretinal membrane; ERM) 은 망막 표면에 혈관이 없는 반투명의 막조직이 형성되어 다양한 정도의 황반 기능 이상을 일으...)
- 2020년 3월 17일 (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분층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부분층 황반 원공 (lamellar macular hole; lamellar MH) == 병태 생리 == Gass는 낭포 황반 부종의 낭포가 파열되면서 생성된다고 하였다. 근래에는...)
- 2020년 3월 17일 (화) 13: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특발성 황반 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idiopathic MH) == 병태 생리 == * 중심와의 낭포 : Kuhnt는 망막 혈관의 노화에 따라 망막의 수포성 변성이...)
- 2020년 3월 17일 (화) 1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성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차성 황반 원공 (secondary macular hole; secondary MH) == 원인 == 외상, 고도 근시, 낭포 황반 부종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병태 생리 == 외...)
- 2020년 3월 17일 (화) 1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HORIZ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 Open-Label Extension Trial of Ranibizumab for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Secondary to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HORIZON) == 연구의 목적 == 장기간 라니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