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5월 21일 (목) 05:51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신경안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신경안과학 제 3판, 2017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일조각))
- 2020년 5월 21일 (목) 05: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적 반복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시각적 반복시 (temporal palinopsia)</b> 는 물체가 시야에서 사라져도 상이 계속 보이는 현상으로, '다시' 라는 뜻의 그리스어 palin 이 어원이...)
- 2020년 5월 21일 (목) 05: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발린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발린트 증후군 (Bálint's syndrome)</b> == 임상 양상 == === 동시 실인증 === === 시각 실조 === 시각적으로 입력된 정보가 운동계로 연결되지 못해...)
- 2020년 5월 21일 (목)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작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동작맹 (akinetopsia)</b> 은 양측성으로 제 5 시각 피질 영역이 손상되면 환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어려워 연속 동작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
- 2020년 5월 21일 (목) 05:29 Smile 토론 기여님이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diabetic papillopathy)</b> == 역학 == 젊은 1형 당뇨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신경 유두 부종이 생기...)
- 2020년 5월 21일 (목) 0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풍선관 눈물길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풍선관 눈물길 성형술 (balloon catheter dacryoplasty; balloon catheter dilator; BCD)</b> 은 부풀어 오르지 않은 풍선관을 코눈물관 더듬자 검사와 같은...)
- 2020년 5월 21일 (목) 05: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리콘관 삽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실리콘관 삽입 (silicone tube intubation; STI)</b> == 실리콘관의 종류 == * Crawford 관 * Quickert & Dryden 관 == Crawford 관을 이용한 수술 방법 == # 실리...)
- 2020년 5월 21일 (목) 04:5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주머니 절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주머니 절제 (lacrimal sac resection)</b> == 적응증 == * 눈물 흘림을 호소하지 않는 급성 또는 아급성 눈물 주머니염 환자들 : 특히 눈물 흘...)
- 2020년 5월 21일 (목)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길 더듬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길 더듬자 (lacrimal probe) == 이나미 (inami) 사의 보우만 눈물길 더듬자 ==)
- 2020년 5월 21일 (목)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점 확장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점 확장기 (punctum dilator)</b>)
- 2020년 5월 21일 (목) 00:07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사선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방사선 시신경병증 (radiation optic neuropathy; RON)</b> 은 뇌나 안와에 방사선 치료를 바은 뒤 수 개월에서 수 년후 비가역적이고 심한 시력 저...)
- 2020년 5월 20일 (수) 07: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얼굴 인식 불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얼굴 인식 불능 (prosopagnosia) 은 시각 인식 불능의 한 종류로 특히 얼굴 인지 장애가 심한 경우이다. == 유형 == * 인식형 : 얼굴에 대한 지...)
- 2020년 5월 20일 (수) 07: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 인식 불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시각 인식 불능 (visual agnosia)</b> 은 시지각, 주의력, 지능, 언어 능력은 충분한데도 시각 정보로는 익숙한 사물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
- 2020년 5월 20일 (수) 07: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도크 현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리도크 현상 (Riddoch phenomenon)</b> 은 반맹인 시야에서 사물의 움직임에 대한 인지가 보존되는 현상을 말한다. == 기전 == 다양하게 설명된...)
- 2020년 5월 20일 (수) 07: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맹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맹시 (blindsight)</b>는 시피질의 병변 때문에 동명성 반맹이 있는 환자가 결함이 있는 시야의 목표물을 눈이나 손으로 정확하게 가리키는...)
- 2020년 5월 20일 (수) 07: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20일 (수) 07: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외상 시신경병증 (traumatic optic neuropathy; TON)</b> 은 시신경의 기능 손상이 일시 또는 영구, 부분 또는 전체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총칭해서...)
- 2020년 5월 20일 (수) 07:04 Smile 토론 기여님이 IONT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ONTS (International Optic Nerve Trauma Study)</b> 연구는 1993년 시작되었으며, 무작위 임상 시험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외상 시신경병증 치료에...)
- 2020년 5월 20일 (수) 0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CRAS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RASH (Corticosteroid Randomization After Significant Head injury) == 방법 == 심한 두부 외상 환자 10,008 명을 수상 8시간 내에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군 (2g...)
- 2020년 5월 20일 (수) 06: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Mainpage-nstab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작)
- 2020년 5월 20일 (수) 05: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 시신경주위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특발 시신경주위염 (idiopathic optic perineuritis)</b> == 역학 == 20~60대의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시신경염에 비해 발병 연령이...)
- 2020년 5월 20일 (수) 05:13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횡단 척수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급성 횡단 척수염 (acute transverse myelitis; ATM)</b> 은 염증성 원인으로 척수에 탈수초성 병변을 일으킨다. 시신경염과 마찬가지로 특발성...)
- 2020년 5월 20일 (수) 00:31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파종 뇌척수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급성 파종 뇌척수염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ADEM)</b> == 발병 기전 ==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대부분 선행 감염 이후 일정 기간 이...)
- 2020년 5월 18일 (월) 01: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두 콩팥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두 콩팥 증후군 (papillorenal syndrome)</b> 은 두 눈 시신경 유두 이상과 콩팥 형성 저하가 동반된 질환으로서 과거에는 콩팥 결손 증후군으...)
- 2020년 5월 18일 (월) 00: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시신경 유두 오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 시신경 유두 오목 (optic pit)</b> 은 선천적으로 시신경 유두 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함몰이 있는 것을 말한다. == 역학 == 대부분 한...)
- 2020년 5월 14일 (목) 07:53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산동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홍채 산동근 (iris dilator)</b> 은 근상피세포 (myoepithelial cell) 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상피세포는 홍채 기질로 이어지는 근육성 기저 부분과...)
- 2020년 5월 14일 (목) 05: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괄약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홍채 괄약근 (iris sphincter muscle)</b> 은 폭 0.75~0.80mm, 두께 0.10~0.17mm 로, 근섬유 세포는 동공 경계면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뒤쪽으로는...)
- 2020년 5월 14일 (목) 05: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동공 (pupil)</b> 은 홍채의 중심보다 약간 비측에 위치하며, 각막에 의해 실제보다 1/8 정도 크게 보인다.)
- 2020년 5월 14일 (목) 05:22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홍채 (iris)</b> 는 수정체 앞에서 격막을 이루고 동공을 형성한다.)
- 2020년 5월 14일 (목) 05:1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 (eye)</b> 은 빛을 모아 초점을 맞추며, 시각 경로의 첫 신경 신호를 부호화하는 시각의 일차 감각 기관이다. 빛은 망막에 도달하기 위...)
- 2020년 5월 14일 (목) 04: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주위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시신경주위염 (optic perineuritis)</b> 은 시신경집에 발생하는 염증 질환이다. == 병인 == 특발성으로 나타나거나, 사르코이드증, 베게너 육...)
- 2020년 5월 14일 (목) 0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담배 유발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담배 유발 시신경병증 (tabacco induced optic neuropathy)</b>)
- 2020년 5월 14일 (목) 01: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메탄올 유발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메탄올 유발 시신경병증 (methanol induced optic neuropathy))
- 2020년 5월 14일 (목) 01: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독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독성 시신경병증 (toxic optic neuropathy)</b> == 원인 == * 메탄올 (methanol) * 에틸렌 글리콜 (ethylene glycol) * 에탐부...)
- 2020년 5월 14일 (목)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행 영양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행 영양 시신경병증 (epidemic nutritional optic neuropathy)</b> 은 심한 영양 결핍이 전쟁이나 기근, 또는 수용소 생활 같은 상황에서 수개월간...)
- 2020년 5월 14일 (목)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영양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영양 시신경병증 (nutritional optic neuropathy)</b> 으로 진단하려면 영양 부족 상태가 오래 지속되었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만성 == 임상 양...)
- 2020년 5월 13일 (수) 08: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전 강직 하반신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전 강직 하반신 마비 (hereditary spastic paraplegias)</b> 는 스트럼펠-로라인 병 (Strumpell-Lorrain disease) 이라고도 부르며, 피질 척수계 변성과...)
- 2020년 5월 13일 (수) 08:50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족 자율신경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가족 자율신경증 (familial dysautonomia)</b> 은 릴리-데이 증후군 (Riley-Day syndrome) 이라고도 부르며,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아슈케나지 유대...)
- 2020년 5월 13일 (수) 08: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샤르코-마리-투스 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샤르코-마리-투스 병 (Charcot-Marie-Tooth 병)</b>)
- 2020년 5월 13일 (수) 08: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척수 소뇌 실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척수 소뇌 실조 (spinocerebellar ataxia; SCA)</b> 는 예전에 올리브 교뇌 소뇌 위축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OPCA) 이라고 불렸던 상염색체 우성 소...)
- 2020년 5월 13일 (수) 08: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리디리히 실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프리드리히 실조 (Friedreich ataxia)</b> == 병인 ==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9번 염색체 (9q13-q21) 에 위치한 시립체내 철 수치를 조절하는 frataxi...)
- 2020년 5월 13일 (수) 08: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베르 증후군 (Behr syndrome)</b> 은 복합 유전 영아 시신경 위축 이라고도 한다.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질환이다. == 임상 양상 == 유아기에...)
- 2020년 5월 13일 (수) 02: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르-트라네브야르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모르-트라네브야르그 증후군 (Mohr-Tranebjærg syndrome; DDON)</b> 은 성염색체 유전 질환으로 10대에 감각 신경성 난청,)
- 2020년 5월 13일 (수) 02: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모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카모스 증후군 (CAMOS syndrome; cerebellar ataxia with mental retardation, optic atrophy and skin abnormalities)</b>)
- 2020년 5월 13일 (수) 02: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포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스포안 증후군 (SPOAN syndrome; spastic paraplegia, optic atrophy and neuropathy)</b> 은 근친 결혼 브라질인 가계에서 상염색체 열성 신경 변성 질환이...)
- 2020년 5월 13일 (수) 00: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스테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코스테프 증후군 (Costeff syndrome)</b> 은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과 진행 신경 변성, 3-methylglutaconic aciduria...)
- 2020년 5월 12일 (화) 08:29 Smile 토론 기여님이 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X-linked optic atrophy; XLOA)</b> 은 매우 드물다. X염색체 1개에 이상이 있다면 남자는 시신경 병증이 나타나고, 여...)
- 2020년 5월 12일 (화) 08: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12일 (화) 08: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 위축 (autosomal recessive optic atrophy; AROA) == 상염색체 열성 유전 == 한 세대에서 형제에 발생하고 그 전 세대나 그 다음...)
- 2020년 5월 12일 (화) 08: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 (autosomal recessive optic neuropathy)</b> == 상염색체 열성 유전 == 한 세대에서 형제에 발생하고 그 전 세대나 그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