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개 기록
보이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1년 6월 18일 (금)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절 경화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절 경화증 (tuberous sclerosis, TS)''' == 역학 == 약 6,000명에서 한 명 꼴로 발생한다. == 유전 ==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TSC1'' (9q34), ''T...)
- 2021년 6월 16일 (수) 06:10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특발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급성 특발 언가지 혈관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16일 (수) 06: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성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이차성 언가지 혈관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16일 (수) 06: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언가지 혈관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16일 (수) 01: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 건피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색소 건피증 (xeroderma pigmentosum)'''{{각막}} 은 1870년 Kaposi 와 Hebra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ref>Brooks BP, Thompson AH et al. Ocular manifestations of xerod...)
- 2021년 6월 14일 (월) 09: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마일 라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스마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14일 (월) 09: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흔뇌회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흔뇌회증 (ulegyria)''' 은 뇌고랑 깊이 위치하는 겉질 흉터로 뇌이랑의 버섯 형태 변형을 유발한다. == 병인 == 출생 전 발생 과정에서 신...)
- 2021년 6월 14일 (월) 09: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눈물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중 눈물점 (double lacrimal puncta)'''{{성형안과}} 은 정상 눈물점 주위에 덧눈물점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 역사 == Mackenzie1가 1854년에 처...)
- 2021년 6월 14일 (월) 05: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삭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삭 증후군 (optic tract syndrome)'''{{신경안과}} 은 한쪽 시삭에 국한된 형성저하 때문에 발생한다<ref>Margo CE, Hamed LM, McCarty J. Congenital optic tr...)
- 2021년 6월 14일 (월) 05: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연조직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연조직염 (orbital cellulitis)'''{{성형안과}} 은 안와 조직 내의 급성 염증으로 시력을 위협하는 감염성 경과를 초래할 수 있다. == 원인...)
- 2021년 6월 12일 (토) 05: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병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Hodapp-Parrish-Anderson (HPA) 기준<ref>Hodapp E et al. Clinical decisions in glaucoma. St. Louis, The C.V, Mosby Co., 1993. pp.52-61</ref> == {{참고}})
- 2021년 6월 10일 (목) 07: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어셔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어셔 증후군 (Usher syndrome)'''{{망막}} 은 망막 색소 변성과 함께 양측 감각신경성 난청을 수반하는 질환이다. == 역사 == 1858년 von Graefe...)
- 2021년 6월 9일 (수) 06: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 (Micro-invasive glaucoma surgery, MIGS)'''{{녹내장}} == 종류 == * 아이 스텐트 (''i''-Stent) * 젠 (XEN) {{참고}})
- 2021년 6월 9일 (수) 0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 망막 층간 분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시 망막 층간 분리 (myopic retinoschisis)'''{{망막}} == 역학 == 병적 근시로 진단된 환자의 8~34%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 자연 경과 ==...)
- 2021년 6월 9일 (수) 04: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양안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helazia''는 13종으로 분류되어 있고, 그 중 인체 기회 감염을 일으키는 종류로는 동양안충 (''Thelazia callipaeda'') 또는 Thelazia californiensis 가...)
- 2021년 6월 7일 (월) 06: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렛-자발리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렛 자발리아 증후군 (Urrets-Zavalia syndrome, UZS)'''{{각막}} == 병인 ==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가장 유력한 병인론 중 하나는...)
- 2021년 6월 7일 (월) 0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성상 유리체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성상 유리체증 (asteroid hyalosis, AH, 星狀 琉璃體症)'''{{망막}} 은 정상 유리체 속에 성상체라고 부르는 다양한 크기의 반짝인는 입자가 별...)
- 2021년 6월 3일 (목) 06:18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카야수 동맥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카야수 동맥염 (Takayasu arteritis)'''{{망막}} 은 만성 염증성 혈관염으로, 주로 대동맥과 대동맥궁 그리고 큰 가지의 동맥들을 침범한다. =...)
- 2021년 6월 2일 (수) 07: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신생 혈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맥락막 신생혈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5월 31일 (월) 05: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acryocyst-rhinostomy, DCR)'''{{성형안과}})
- 2021년 5월 31일 (월) 02: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우성 방사 드루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5월 31일 (월) 01: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짓 비늘 녹내장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거짓비늘 녹내장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5월 31일 (월) 01: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로 안토시아니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로 안토시아니딘 (proanthocyanidin)''' 은 자유 라디칼 (free radical) 을 줄이고, 과산화수소와 초과 산화물과 같은 ROS 들과 반응하거나 세포...)
- 2021년 5월 31일 (월) 01:14 Smile 토론 기여님이 폴리페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폴리페놀 (polyphenol)''' 은 안토시아닌 (anthocyanin) 과 프로 안토시아니딘 (proanthocyaidin) 등이 풍부하여 항산화 작용을 하며 특히 vitis vinfera...)
- 2021년 5월 31일 (월) 01: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청색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청색광 (blue light)''' 은 짧은 파장 (380-530nm), 높은 에너지의 가시 광선으로 산화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 역학 == 최근에는 특히 전 연령...)
- 2021년 5월 27일 (목) 05:01 Smile 토론 기여님이 MMP-9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MP-9 (matrix metalloproteinase 9; 기질 금속 단백분해효소 9)'''{{각막}} 는 창상 치류와 염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단백 분해 효...)
- 2021년 5월 27일 (목) 03: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코눈물관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코눈물관 폐쇄'''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CNLDO){{성형안과}} == 역학 == 신생아 및 영아에서 5~20% 유병률을 가지는 흔한 질환...)
- 2021년 5월 26일 (수) 03: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등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부등시 (anisometropia; 不等視)''' 는 양안의 굴절력 차이가 나는 것을 말한다. == 분류 == * 근시 부등시 (myopic anisometropia) : 근시가 심한 눈은...)
- 2021년 5월 24일 (월) 04:33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근시 변화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급성 근시 변화 (acute myopic change)''' == 병인 == Ikeda 등은 섬모체 맥락막 삼출물과 섬모체 종창을 유발하여 섬모체 돌기 및 홍채의 전방 전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정체-홍채 격막이 전방 이동하여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하고 섬모체 부종이 섬모체 소대를 이완시켜 수정체 두께를 증가시켜 근시가...".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5월 24일 (월) 04: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맥락막 삼출물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맥락막 삼출물 증후군 (ciliochoroidal effusion syndrome)''' == 병인 == Ikeda 등은 섬모체 맥락막 삼출물과 섬모체 종창을 유발하여 섬모체...)
- 2021년 5월 24일 (월) 02:21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근시 변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근시 변화 (acute myopic change)''' == 병인 == Ikeda 등은 섬모체 맥락막 삼출물과 섬모체 종창을 유발하여 섬모체 돌기 및 홍채의 전방 전...)
- 2021년 5월 7일 (금)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알카프타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알카프타딘 (alcaftadine)''' 은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알카프타딘 0.25% 의 종류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
- 2021년 4월 16일 (금) 03:08 Smile 토론 기여님이 MP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P3 (micropulse P3™)''')
- 2021년 3월 24일 (수)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마일 라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마일 라식 (SMILE LASIK) == 수술 과정 == #)
- 2021년 3월 22일 (월)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RGP/처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이상적인 피팅을 위해 검사해야 할 사항 == === 렌즈의 위치 === 렌즈를 끼웠을 때 렌즈의 이상적인 위치란 가장 착용감이 좋으며, 적당한...)
- 2021년 3월 18일 (목) 07: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엔비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엔비전 (EnVision)''' == 기존 RGP 렌즈와의 비교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구면 RGP||비구면 RGP||EnVision |- |근시 교정 효과||좋다||...)
- 2021년 3월 18일 (목) 07: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씬사이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씬사이트 (ThinSite)''' == SCL, 기존 RGP 렌즈와의 비교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SCL, 기존 RGP 렌즈와 ThinSite 의 차이 |- !||SCL||기존...)
- 2021년 3월 17일 (수) 09: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슈퍼비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슈퍼비전 (Supervision) 은 RGP 렌즈이다. {{참고|콘택트렌즈}})
- 2021년 3월 17일 (수) 04: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Contex OK lens) == 교정 원리 == 원하는 도수만큼 각막의 중심부를 눌러줌으로써 (sphericalization : 각막을 구와 같은...)
- 2021년 3월 3일 (수) 00:11 Smile 토론 기여님이 EP2 수용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P2 수용체 (EP2 receptor)''' 는 기관지, 소화관과 자궁 등의 평활근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평활근의 이완이나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 세...)
- 2021년 2월 15일 (월) 04: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뿔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뿔세포 (cone cell)''' 는 밝은 빛을 감지하며, 색과 형태의 감지에 관여한다. 사람에서 약 460만개가 주로 망막 중심부에 분포하며, 3가지...)
- 2021년 2월 6일 (토) 01:01 Smile 토론 기여님이 트라보데노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트라보데노손 (trabodenoson)''' (INO-8875; Inotech pharmaceuticals corp., Lexington, MA, USA) 은 아데노신 A1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고도로 선택적인 아...)
- 2021년 2월 6일 (토) 00: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페타프로스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세페타프로스트 (sepetaprost) (DE-126, 산텐 제약) 은 EP3 와 기존의 FP 수용체에 동시에 작용하는 길항체로서 최근 2상 임상 시험에서 라타노...)
- 2021년 2월 6일 (토) 00: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오미데네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오미데네팍 (omidenepag)'''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omidenepag isopropyl 0.02mg/ml) 의 종류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2021년 2월 5일 (금) 09: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면역 연관 공막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면역 연관 공막염 (immune related scleritis)</b> == 역학 == 어느 연령에서나 나타날 수 있으나 30~5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보다(*6:1) 더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span style='color:blue;'>52%가 양안에 발생하며, 그 중 반이 동시에 발병</span>한다. 인종간에 차이는 없다. == 관련 질환 == 재발...".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2월 5일 (금) 09: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면역 관련 공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면역 연관 공막염 (immune related scleritis)</b> == 역학 == 어느 연령에서나 나타날 수 있으나 30~5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보다(*6...)
- 2021년 2월 5일 (금) 07: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만세포 안정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만세포 안정제 (mast cell stabilizer)''' == 효과 == 효과는 시작한지 2~5일 지난 후 나타나며, 첫 치료 후 15일째에 최대 효과를 볼 수 있다. 환...)
- 2021년 1월 28일 (목) 04: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약물 전달 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약물 전달 콘택트렌즈 (drug delivery contact lens; DDCL)''' 질병의 추적 관찰과 함께 미래의 렌즈는 더 나아가 안구에 약물을 직접 전달하여 질...)
- 2021년 1월 28일 (목) 02: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블렌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블렌드 (blend)''' 는 렌즈 뒷면의 각 커브 사이를 완만하게 처리한 경계부를 말하며, 이러한 작업을 블렌딩 (blending) 한다고 한다. 각 커브...)
- 2021년 1월 23일 (토) 00:05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듈루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모듈루스 (modulus)</b> 는 안검에 의한 렌즈의 변형 정도를 나타내며 렌즈 피팅 시 영향을 준다. 이 모듈루스는 렌즈에 힘 (stress) 을 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