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1월 1일 (토) 19:07 Smile 토론 기여님이 STAR S4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TAR S4''' (VISX, Santa Clara, CA) 는 엑시머 레이저 장비로서, iDesign® Refractive Studio 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 적응증<ref>FDA : SSED [https://www.acces...)
- 2022년 1월 1일 (토) 18:38 Smile 토론 기여님이 EX50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EX500''' (Alcon, Fort Worth, TX, USA) 레이저는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엑시머 레이저 장비이다. == 안구 추적 장치 ==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동...)
- 2021년 12월 29일 (수) 14: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너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너지 (Tecnis Synergy™, ZFR00V)'''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광학부 종류||양면 볼록, 비구면 전면, 대비 감도 향상을 위한 색수...)
- 2021년 12월 27일 (월)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이핸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이핸스 (Eyhance)'''{{백내장}}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광학부 종류|| |- |재질|| |- |도수|| |- |굴절률|| |- |전체, 광학부 지름||...)
- 2021년 12월 25일 (토) 1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사트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사트리 (AT Lisa tri, 839 MP)'''{{백내장}} (Carl Zeiss Meditec, Germany) 는 중간 거리 시력을 개선한 회절성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로, 근거리(+3.33D),...)
- 2021년 12월 25일 (토) 10: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2월 24일 (금) 18: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비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비티 (AcrySof® IQ Vivity™)'''{{백내장}} {{참고}})
- 2021년 12월 24일 (금) 18: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니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니웰 (MiniWell)'''{{백내장}} (SiFi, Catania, Italy) == 단점 == 굴절 인공수정체가 갖는 단점도 있어서 동공의 크기에 영향을 더 받아서 동공이...)
- 2021년 12월 24일 (금) 18: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포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심포니 (TECNIS Symfony®)''' 인공수정체는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미세계단 내에 또 다시 미세계단 구조를 만드는 회절 에셜렛 격자 (...)
- 2021년 12월 24일 (금) 18: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초점심도 연장 인공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초점심도 연장 인공수정체 (extended depth of focus, EDOF)'''{{백내장}} 는 중간거리 시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기존의 다초점 인...)
- 2021년 12월 24일 (금) 18: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테크니스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테크니스 다초점 인공수정체 (Tecnis mfIOL)'''{{백내장}} == 종류 == * ZKB00 (+2.75 D, 50 cm) * ZLB00 (+3.25 D, 42 cm) * ZMB00 (+4.0 D, 32 cm) {{참고}})
- 2021년 12월 24일 (금) 18: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팬옵틱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팬옵틱스 (Acrysof IQ PanOptix)'''{{백내장}} (Alcon Laboratories, Inc., Fort Worth, TX, USA) {{참고}})
- 2021년 12월 24일 (금) 18: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옵티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옵티비스 (Optivis™)''' 는 회절-굴절형 방식의 친수성 acrylic 1-piece folderble 인공수정체로 중심부에서 1.5 mm까지는 progressive power refractive zone...)
- 2021년 12월 24일 (금) 17: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크리소프 레스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크리소프 레스토 (Acrysof Restor®; SN6AD1)'''{{백내장}} (Alcon Lab., Fort Worth, TX, USA) 는 대칭형 양면 볼록렌즈로, single piece, 전면 비구면 인공...)
- 2021년 12월 24일 (금) 17:05 Smile 토론 기여님이 렌티스 엠플러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렌티스 엠플러스 (Lentis® Mplus; LS-313)'''{{백내장}} (Oculentis GmbH., Berlin, Germany) 는 양면볼록렌즈(biconvex)로, single piece, 후면 비구면렌즈로 광...)
- 2021년 12월 24일 (금) 1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렌티스 컴포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렌티스 컴포트 (Lentis® Comfort)'''{{백내장}} (Oculentis, Berlin, Germany) 는 덧댐 굴절력 +1.5 D 를 갖는 굴절 굴절성 비...)
- 2021년 12월 24일 (금) 1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회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2월 24일 (금) 16: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굴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2월 24일 (금) 1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style="color:{{{1}}}">{{{2}}}</span>)
- 2021년 12월 23일 (목) 07: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토피 피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은 가려움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만성 재발성 양상의 피부 질환이다<ref>Leung DY. Atopic dermatitis : the skin as...)
- 2021년 12월 3일 (금) 01: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루미파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루미파이 (Lumify®) 점안액''' 은 FDA 승인된 브리모니딘 0.025% 약제로 1분 안에 빠른 효과 발현과 8시간의 지속력을 가지며, 정맥의 선택...)
- 2021년 11월 25일 (목) 14:57 Smile 토론 기여님이 TV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VT (Tube Versus Trabeculectomy) == 목적 == 이전에 안내 수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밸브가 없는 튜브 우회 수술과 미토마이신 씨를 이용한 섬유...)
- 2021년 10월 15일 (금) 0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고혈압 망막병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5일 (금) 04:59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맥락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고혈압 맥락막병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2일 (화) 12: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당뇨 황반 부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당뇨 황반부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1일 (월) 15:12 Smile 토론 기여님이 ACCORD-EY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2010년에 발표된 ACCORD 연구는 10,251명의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임상 시험으로 그 중 2,856명이 환자를 대상으로 ''ACCORD-EYE (Act...)
- 2021년 10월 11일 (월) 15:01 Smile 토론 기여님이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UKPDS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1일 (월)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1일 (월) 1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증식 당뇨 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0일 (일) 06: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 상피 유래 인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색소상피 유래 인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10일 (일) 0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Angiopoiet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giopoietin 은 내피세포에 특별히 중요하고 세포와 기질을 지지하는 다양한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 == 종류 == 이 둘은 혈관에 서로 상반된...)
- 2021년 10월 10일 (일) 06: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직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직 인자 (tissue factor, TF)'''{{망막}} 는 응고인자 Vll, Vlla의 transmembrane 수용체이다<ref>Morrissey JH et al. TF/factor VIIa complex : role of the membrane s...)
- 2021년 10월 10일 (일) 0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TIM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금속단백 분해효소 조직 억제제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망막}} 는 MMP를 하향 조절한다. == 분류 == * TIMP-1 : 가용성 * TIMP-2...)
- 2021년 10월 8일 (금) 02:44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망막}} 는 동종 또는 이종 접합 당단백질로 혈관신생에서 혈관주위세포와 혈관...)
- 2021년 10월 8일 (금) 02: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wAMD)'''{{망막}} == 병태생리== === 혈관신생 === === VEGF === === PDGF ===)
- 2021년 10월 8일 (금) 02:17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관 내피 성장 인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혈관내피 성장인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6일 (수) 13:02 Smile 토론 기여님이 건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환자가양쪽눈에 황반변성이 없거나, 단지 초기 나이관련 황반변성이 있는 경우는 통상적으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다. 이러한 경우는 매...)
- 2021년 10월 6일 (수) 1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건성 나이 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건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5일 (화) 11: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막 부스러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막 부스러기 (membranous debris)'''{{망막}} 는 RPE의 원형질막에 붙어 있는 막의 조각들로, 보통 기저판 침착물과 같이 존재하며, 주로 인지...)
- 2021년 10월 5일 (화) 11:16 Smile 토론 기여님이 건성 나이 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형태학적 변화 == === 드루젠 === * 경성 드루젠 (hard drusen) * 진성 연성 드루젠 (true soft drusen) ===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 === 노...)
- 2021년 10월 5일 (화) 00:59 Smile 토론 기여님이 기저 선형 침착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저 선형 침착물 (basal linear deposit; BLinD)'''{{망막}} 은 RPE의 바닥쪽 기저막과 브루크막의 내측 콜라겐층 사이에 침착되는데 연성 드루...)
- 2021년 10월 3일 (일) 01: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subretinal drusenoid depostis)'''{{망막}} 은 1900년대에 Mimoun 등에 의해 '청색광에서 잘 보이는 가성의 드루젠' 으로 소개...)
- 2021년 10월 3일 (일) 01:50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닥판 침착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기저판 침착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10월 3일 (일) 01: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닥판 침착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바닥판 침착물 (basal laminar deposit)'''{{망막}} 은 RPE 기저막 앞쪽, RPE 바깥쪽에 침착된 축적물을 말한다<ref>van der Schaft TL et al. Histologic featur...)
- 2021년 10월 2일 (토) 14: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성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진성 연성 드루젠 (true soft drusens)'''{{망막}} 은 작은 경성 드루젠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은 아니다. == 분류 == === 과립 (granular) 연성 드루...)
- 2021년 10월 1일 (금) 04:54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성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작은 경성 드루젠 (small, hard drusen)'''{{망막}} 은 3~50㎛ 크기가 되어야 안저 검사에서 보이게 된다. 무적색광에서 보다 분명하게 보이고 FA...)
- 2021년 9월 30일 (목) 12: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도 모양 위축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지도모양 위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30일 (목) 12: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 관련 황반변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30일 (목) 12: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이 관련 황반 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30일 (목) 00: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좌우 뒤바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좌우 뒤바뀜 (situs inversus of optic disc, SIOD)'''{{신경안과}} 은 안경 (optic stalk) 이 안소포 (optic vesicle) 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되...)